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탁월한침팬지257
탁월한침팬지25722.08.14

태풍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떻게 크기가 커지나요?

가을쯤되면 태풍이 많이 우리나라로 옵니다

태풍은 회전하며 바람 및 비를 동반하는데 어떻게 발생되는지 궁금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크기가 왜커지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강력한 상승기류에 의해서 수증기가 넓은지역에 퍼져서 올라가고
    지구의 자전에 의해 코리올리현상이라는 회전력이 발생합니다.
    즉, 올라간 수증기가 구름을 형성하고 회오리 바람이 만들어져 태풍의눈을 기준으로 계속해서 돌고있습니다.

    태풍 아래에서 상승기류가 계속 발생하여 비구름이 점점 축적되고 쌓이다가 일정 크기가 되면
    전향력을 받아서 적도위쪽으로 또는 아래쪽으로 위도를 변경합니다.

    감사하빈다.


  •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중심으로부터 15m/s 이상의 바람이 불고, 강풍 반경이 500km-800km 사이인 기상 현상을 의미합니다.


    태풍은 열이 바다에서 대기 중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표층 해수면 온도가 26도 이상일 때 대기는 바다로부터 따뜻한 수증기를 공급받아 열대 저기압을 형성하고, 이 상태가 지속되면서 태풍이 발생합니다. 폭풍우를 동반한 태풍은 고위도로 이합니다. 우리나라를 지나는 태풍의 경우, 온도가 높은 해수가 분포한 따뜻한 소용돌이를 만나거나 쿠로시오 해류를 통과하면서 급격하게 강해지기도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태풍이 커지는 이유는 바다에서 지속적으로 수증기를 공급받고, 열 에너지를 얻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바다를 넘어 육지를 지나면서, 바다로부터 얻던 열 에너지는 줄고, 지상에서 힘을 소모하여 크기가 줄어들다가 소멸하게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