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3.08.12

유한회사와 주식회사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유한회사와 주식회사는 자본금이나 규모에 따라 달라지는

건지 아니면 회사가 도산할 경우 두 회사는 어떠한 상태로

되는지 두 회사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회사는 오직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 회사를 말하는데 우리나라의 회사 형태에서 94%를 차지하는 회사의 형태라고 해요. 보통 주식회사는 회사를 설립하기 위한 자본을 발행하는 '주식'을 통해서 자금을 유치하며 주식을 소유한 사람들을 '주주'라고 하고 회사의 주인이되는 구조이고 이렇게 주식을 발행한 주주들은 유한책임사원이라고 할 수 있어요

    유한회사는 오직 유한책임사원으로만 구성된 회사로 주식회사와 동일하지만 보통 설립을 위한 최소 자본금은 100원이라고 해요. 유한회사는 주식회사와는 다르게 이사회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고 대표자가 단독으로 결정을 내릴 수 있으며, 임원의 임기는 따로 존재하지 않아 평생토록 임기가 가능한 종신임기가 가능하다고 해요. 그렇기 때문에 유한회사는 주식회사에 비해서 폐쇄적으로 운영되며, 외부 투자 유치가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회사의 특징으로는 회사에 출자한 사원의 지위는 출자액을

    한도로 하는 유한책임을 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유한회사는 최소한 2인 이상의 사원이 그들의 출자액에 한하여 책임을 갖도록 하는

    회사를 말합니다. 보통 설립이 쉽고, 설립비용이 소액인 등 주식회사보다

    긴딘하며 공시 의무 등도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한회사는 제한된 규모의 자본으로 설립되며, 주주들의 책임이 한정되어 있습니다. 주주들은 투자한 자본만큼만 책임지며, 개인 재산은 보호됩니다.

    주식회사는 주식을 발행하여 자본을 조달하고, 주주들의 책임은 주식 보유 비율에 따라 제한됩니다. 주식회사는 큰 규모의 자본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한회사는 주로 소규모 기업이나 가족 소유 기업을 말합니다. 이는 소유자나 주주들이 제한된 수의 주식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소유주들이 회사 운영에 직접 참여합니다. 소유주들은 자본 기여나 역할에 따라 이익과 손실을 분담하며, 책임과 부채 역시 제한됩니다. 유한회사는 소유주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결정 사항이 있을 때 소유주들 간의 협의가 필요합니다.

    반면에 주식회사는 주주들이 자본을 출자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법인 기업을 말합니다. 주식회사는 주식을 통해 자본을 조달하고, 주주들은 주식을 통해 회사에 투자합니다. 주주들은 회사의 이익과 손실을 주식 비율에 따라 분담하며, 책임과 부채 또한 주식 비율에 따라 제한됩니다. 주식회사는 주주들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중요한 결정 사항이 있을 때 주주총회를 개최하여 의사결정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