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개도국은 어떤 나라에 쓰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홀쭉한타킨이11입니다.

세계의 여러나라를 말할때 선진국이나

후진국이라는 표현외에 개도국 이라고도

하던데 개도국은 어떤 나라에 쓰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도국이라는 단어는 산업화를 통하여 빠르게 성장한 몇개 국가를 제외한 많은 국가들이 개도국이라는 단어에 해당하는데, 1인당 소득 수준이 매우 낮은 것이 특징이며 (소득수준은 100달러 이하를 많이 이야기합니다), 산업화의 근간이나 물자보급 그리고 경제개발의 수준이 매우 뒤떨어지고 있는 국가들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도국이란, 일반적으로 경제적, 기술적, 사회적으로 발전이 덜 된 나라를 말합니다. 이는 주로 산업화와 인프라 구축, 교육 수준, 건강 수준, 경제 성장률 등 다양한 지표를 기반으로 판단됩니다.

      개도국이라는 용어가 개발된 나라들에게 부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며, 이러한 나라들이 선진국들의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뒤쳐져 있다는 인식을 주기때문에, 최근에는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도국"이라는 용어는 이제는 사용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이 용어는 일부 국가가 경제적으로 발전하지 못한 나라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지만, 이는 매우 모욕적인 용어로 여겨집니다.

      대신, 국가의 발전 수준을 나타내는 데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가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는 UN에서 사용되며, 경제적, 사회적, 기술적 측면에서 아직 발전되지 못한 나라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이 용어들도 일부 사람들에게는 모욕적일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각 나라의 이름을 직접 사용하거나,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외에는 다른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한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하나의 인증체제는 없고 다양한 기준과 국가단체들의 기준에 부합하고 속하게되면 선진국이라 불립니다.

      여러 국가단체들이 선진국이다 후진국이다 나름 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보통은 GDP 기본이고

      IMF 선진경제국으로 분류되거나

      UN의 HDI(인간개발지수) 가 0.8이상이거나

      OECD, DAC 등 국가 단체에 기준에 충족하여 속하거나 분류되면

      점차 그 나라는 인증되고신뢰지수가 올라가서 선진국반열에 오르게 되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드리면

      돈 + 그 나라의 모든 분야(교육,경제,보안 등) 튼튼한 나라인가에 따라 결정됩니다.

      선진국 라인에 있는 나라를 제외하면 대부분 개도국이라고 보시면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발도상국"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 발전 수준이 낮고 생활 수준이 낮은 국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들 국가는 일반적으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 산업화 수준, 기대수명, 교육, 소득과 같은 지표를 측정하는 인간개발지수(HDI)가 낮습니다. 개발도상국은 종종 빈곤, 소득 불평등, 의료 및 교육과 같은 기본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부족, 정치적 불안정, 환경 파괴와 같은 문제에 직면합니다. 이 용어는 경제 발전, 산업화 수준이 높고 일반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은 선진국과 이들 국가를 구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대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개도국은 개발 도상국에 줄임말로 쓰이며 산업의 근대화와 경제 개발이 선진국에 비하여 뒤떨어진 나라로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독립한 아시아ㆍ아프리카ㆍ중남미의 여러 나라가 이에 속하며, 과거에는 후진국이라 불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