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거래소가 현재 2 곳만 남게 될 것 같습니다. 전문가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우리나라의 거래소는 외국인들도 많이 투자하고 있는 거래소들이 두 곳이 있습니다.
현재 코인원은 우리나라의 사람들만 많이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는 우리나라 거래소가 현재 2 곳만 남게 될 것 같습니다.
전문가님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안녕하세요. 박경영 경제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코린이님의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현재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은 업비트와 빗썸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2024년 10월 기준, 업비트의 시장 점유율은 약 55.6%, 빗썸은 약 40.1%를 기록하며, 두 거래소가 전체 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코인원의 시장 점유율은 약 3.2%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입니다. 코인원은 국내 이용자 중심의 거래소로 알려져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차명훈 코인원 대표는 2023년 1월, 외국인의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투자를 허용해 줄 것을 당국에 요청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고려할 때, 업비트와 빗썸의 지배력이 강화되고 있으며, 코인원과 같은 중소 거래소는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의 추세가 지속된다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이 상위 두 곳으로 재편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가상자산 시장은 빠르게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코인원이 차별화된 서비스나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코인원은 보안 시스템 강화와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다양한 금융 상품을 통해 이용자층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시장 점유율과 외국인 투자 유치 상황을 고려할 때, 업비트와 빗썸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코인원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시장의 변동성과 코인원의 전략에 따라 향후 시장 구도가 변화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시장에서는 당연한 의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보험사도 갈수록 후순위는 흡수 합병이 될 것이고요 실제 일본도 그렇게 가고 있습니다 거대한 자본력들이 흔들리는 거래소를 먹어 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