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기계공학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헬리콥터는 어떻게 하늘을 날 수 있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헬리콥터가 하늘을 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저는 날개의 회전으로 하늘을 나는 것인줄 알았는데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에서도 날개가 회전하는데 하늘을 날지 않더라구여..

헬기가 날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날개가 회전하는데도 바로뜨지 않는다는 관찰이 정확하십니다.

    헬리콥터가 나는 핵심 원리는 양력(lift)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비행기가 날개 모양과 앞으로 나아가는 속도로 양력을 얻는다면, 헬리콥터는 회전하는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양력을 얻습니다.

    지면에 있을때 날개가 회전하는 것은 엔진이 작동하고 있다는 뜻이지만, 이 상태ㅔ에서는 날개의 각도(피치)가 낮게 설정되어 있어 충분한 양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조종사가 이륙을 위해 날개의 각도를 높이면 회전하는 날개가 공기를 아래로 강하게 밀어내고, 그 반작용으로 헬리콥터를 위로 들어올리는 힘, 즉 양력이 발생합니다.

    이 양력이 헬리콥터의 무게보다 커지면 비로소 하늘로 떠오를수있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다람 전문가입니다.

    헬기는 메인로터라고 불리는 큰 회전날개를 이용하여 날수있습니다

    메인 로터의 블레이드는 유선형으로 되어 있어, 빠르게 회전할 때 블레이드 위아래의 압력 차이가 생깁니다. 이로 인해 블레이드 아래쪽의 압력이 높아지고 위쪽의 압력이 낮아져 헬리콥터를 위로 밀어 올리는 양력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호철 전문가입니다.

    헬리콥터가 나는 원리는 기계공학에 공부하다보면 베르누이 방식에 의해 적용하여 개발 되었습니다.

    압력은 높은쪽에서 낲은쪽으로 흐르는데 헬리콥터 위쪽은 빠른공기에 의해 압력이 낮아지고 아래쪽은 느린공기 흐름에의해 압력이 높아 집니다. 힘(양력)이 위쪽으로 떠받쳐서 뜨게 됩니다.

  • 헬리콥터는 로터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고 그 힘의 

    반작용으로 양력이 생겨 하늘로 떠오르게 됩니다. 지면에 닿아있는 상태에서 날개가 회전해도 양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헬기는 뜰 수가 없습니다. 로터 블레이드의 각도와 회전 속도를 조절하면 양력을 증가시켜 이륙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