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소득대체율이라는 개념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국민연금, 개인연금의 내용을 보다보면, 소득대체율이라는말이 있던데요, 그런데 소득대체율이라는 개념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그리고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얼마인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소득대체율이란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의 몇 %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로

      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을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에서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이 월평균 소득의 몇 %를 지급할지를 나타내는 비율입니다. 반면 연금의 소득대체율은 생애평균소득 대비 국민연금의 비율을 말합니다.

      현재 소득대체율이 약 20%라고 하며, 연금개혁이면 50%로 올리자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민연금의 소득대체율은 국민연금 제도에서 퇴직 시 현재 수령 중인 월급 또는 소득에 대해 연금 수령 시 받을 수 있는 연금액의 비율을 나타냅니다. 이 비율은 국민연금 제도가 근로자의 퇴직 후 생활비를 어느 정도 보장하는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소득대체율은 개인의 근로경력, 국민연금에 지불한 보험료, 퇴직 시 나이, 연금 수령 연령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높은 소득대체율은 근로자가 퇴직 시 더 많은 현금 흐름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퇴직 후의 생활 수준을 높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