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개월된 아이인데요 밤에 왜캐 많이 깰까요 ?ㅠ 울면서 깨요 ㅠ
안녕하세요
돌치레 전까지는 통잠도 자고 밤이 한번 밖에 안깨서 너무 좋았는데
돌치레를 겪은뒤이 밤에 울면서 깨는 횟수가 너무 늘었어요..
쪽쪽이를 물어야하고 ㅠㅠ 안물면 엄청 울고
맘마라는 말도 엄청하고 ㅠㅠ
이시기엔 이런 걸까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자기 전에 이유식을 충분히 먹여 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돌치레 이후로 부모를 찾는 습관이 생겼을 수도 있으니
잘 때 부모님이 안정감을 충분히 주시면서, 쪽쪽이를 조금씩 줄여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13개월 아기가 밤에 많이 깨고 울면서 깬다고 하니, 정말 걱정이 많으시겠어요.
이 시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수면 패턴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돌을 지나면서 겪는 변화가 많기 때문에,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지만 부모님 입장에서는 정말 힘들고 걱정이 많을 수 있습니다. 13개월쯤 되면, 아기는 운동 능력이 급격히 발전합니다. 이제 걸음마도 시작하고, 기어 다니며 주변을 탐색하려는 욕구가 커집니다.
이 시기의 아기들은 인지 발달도 많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잠을 자는 동안에도 그동안 학습한 것들이 머릿속에 떠오르거나 상상력이 발달하면서 꿈이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13개월이 되면 수면 중 배고픔을 느끼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보다는 심리적인 안정이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자다가 울며 "맘마"라고 하는 것은 수면에서 깬 후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려는 요구일 수 있습니다. 이 나이 아이는 여전히 엄마의 품에서의 안정감을 강하게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수면 루틴과 안정감을 주는 환경을 만들어 주면서, 아기와의 신뢰 관계를 깊게 쌓아가세요.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안정적인 수면 패턴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제가 드린 이 답변이 아이를 양육하시는 데에
조금이나마 참조가 되었기를 바라도록 하겠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돌 이후 밤에 자주 깨는 이유는 분리불안, 성장통, 또는 습관화된 수면 패턴 때문일 수 있습니다. 쪽쪽이에 의존하는 경우도 흔합니다. 안정감을 주고, 일관된 수면 루틴을 유지하며, 자주 깰 때는 바로 대응하지 말고 스스로 진정하도록 기다려보세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성장통을 겪거나 신체적으로 컨디션이 안좋으면 그럴수있으며 신체적으로 큰 문제가 없다면 시간이지나면 자연히 좋아질수있을것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돌치레는 아기의 뇌와 신체가 급격히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여러 발달적인 변화가 일어나며, 이로 인해 아기가 불안감을 느끼거나 밤에 자주 깰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돌 이후 자주 깨는 이유는 분리불안, 치아 발달 통증, 또는 수면 습관 변화 때문일 수 있습니다. 안정감을 주고 일관된 수면 루틴을 유지하며 쪽쪽이 의존은 서서히 줄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돌 이후 밤에 자주 깨고 우는 현상은 분리불안, 버릇의 형성, 건강 문제(치아, 배고픔 등), 발달의 변화 등 여러 이유일 수가 있습니다. 이 시기가 지나면 점차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므로 낮잠 시간을 조절하고 규칙적인 수면 루틴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돌 치레를 하기 전에 열감기로 인해서 아프고 성장을 하게 되구요.
또, 이앓이 때문에 잠에서 자주깨고 아파하고 우는 빈도로 자주 발생 하겠습니다.
우선은 아이에게 안정감을 제공해 주는 것이 먼저 입니다.
아이가 일어나 울고 보챈다면 아이를 안아주고 아이의 등을 토닥이며 아이를 달래어 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또한 아이의 입 안에서 침이 많이 흘리거나 아이의 몸에서 열이 나거나 잇몸이 부어 있지 않는지를 잘 살펴봐 주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몸에서 열이 심하다 라고 한다면 즉시 응급실 또는 병원에 가서 아이의 상태를 비치고 치료를 받은 후 약을 처방 받는 것이 좋겠구요. 잇몸이 부어있다면 거즈 또는 가재수건에 물을 묻혀 아이의 잇몸을 닦아주거나 치발기를 시원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꺼내어 아이의 입 안에 넣어주면 아이의 이앓이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통잠을 자고 안자고는 다 다르다고 생각을 합니다. 통잠을 자준다면 부모님께서 아주 편하게 생활을 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통잠을 자다가도 아이들의 패턴이 바뀔 수 있다고 합니다. 이 경우에는 아무래도 아이들은 계속해서 성장을 하기 때문에 성장통이 생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들을 잘 케어를 해주시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기가 3개월 정도 되면 수면 주기가 성인의 수면 주처럼 얕은 잠과 깊은 잠을 반복하는데 얕은 잠에 있을 때 외부 자극에 더 민감해져 깨는 횟수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가 없으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