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믿소사
믿소사22.03.14

전깃줄에 앉은 참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감전이 일어나는 이유)

감전은 어떻게, 왜 일어나는 건가요?

새 다리가 고무도 아니고, 전깃줄에 새들, 참새들이 전깃줄에 앉았을 때는 왜 감전되지 않는 건가요?

전깃줄을 위험 방지를 위해 감싼거라면, 사람이 전깃줄에 매달려도 감전은 안 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백대균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는 항상 두 선이 있어야 흐릅니다. 전기는 한 선으로는 흐르지 못합니다. 두 선중에 한 선만 접촉해서는 전기에 감전되지 않습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작은 새들은 이 선에 않든지, 저 선에 앉든지 해서 선 하나만 접촉하고 있으면 감전되지 않습니다. 그림과 같이 만약 아주 큰새가 있어 두 선에 동시에 접촉하면 감전이 일어납니다. 사람이 한선에 매달려서는 감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만약 위에 선에 매달리고 아래선에 발이 닿인다면 감전사고가 발생합니다. 고압선을 전부 고무재질로 피복하기 힘들므로 안전하게 두 선의 거리를 두어 전봇대로 전기를 전송합니다. 대부분의 고압선은 새들의 날개가 걸리지 않을 정도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전기를 송전하므로 충분히 안전합니다.

    고압의 전기가 변압기를 거처 우리 가정에 들어올때는 두선의 간격을 띄워서 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전기가 흐르지 않는 고무로 피복된 선줄을 사용합니다. 두선이 피복되어 있을 때 두선을 동시에 접촉할 일이 없으므로 감전이 일나지 않습니다. 그러나 만약 전선의 피복이 벗겨져서 우리가 두 선을 동시에 접촉되는 사고가 발생하면 감전됩니다. 아래 그림과 같이 젓가락으로 콘센트의 두 구멍에 동시에 넣으면 두 선을 동시에 접촉하는 결과가 되어 감전됩니다. 어린이들은 이런 장난을 하지 않도록 매우 조심해야 합니다.

    감전이 되어 치명상을 입는 전압과 전류는 일정한 값을 가져야만 합니다. 전압이 너무 낮으면 감전되어도 큰 충격이 없습니다. 전압이 아주 높더라도 전류가 너무 약하면 감전 되어도 따끔한 정도의 충격은 받지만 치명상으로 이어지지는 않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일반 가정의 220볼트의 콘센트는 사망에 이른 정도의 전압과 전류가 되므로 매우 조심해야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이란 몸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인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집니다.

    전류는 저항이 적은 쪽으로 흐르기를 좋아합니다.즉 더 쉬운 길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참새는 전깃줄에 앉아 회로를 형성하고 전류에 대한 높은 저항력을 가져 전깃줄에 전류가 흐르는 것입니다.쉽게 말해 참새가 저항이 높아 전류가 참새 쪽이 아닌 전깃줄로 흐르는 것입니다.하지만 이것보다 더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참새는 전선 한 가닥에 두 발을 모두 얹어 놓고 있기 때문입니다.건전지로 예를 들면 플러스나 마이너스 가운데 한쪽의 전극에만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즉 참새의 다리가 두 고압석에 동시에 접촉하면 감전이 됩니다.


  • 전깃줄에 앉은 참새가 감전되지 않는 이유는, 새의 발바닥과 다리 사이의 전기 저항이 인간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감전은 전기가 전기 저항이 낮은 물질을 통해 흐를 때 발생하며, 인체의 경우 전기 저항이 낮아 전기가 몸 속으로 흐르면서 감전됩니다. 전깃줄은 전기 저항이 높아 전기가 흐르는 양이 적기 때문에 전기 충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전기 저항이 낮은 물질에 전기가 흐르면 감전이 발생하므로, 전깃줄이 감싸여 있더라도 사람이 전깃줄에 매달려 감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성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感電·electric shock)'은 몸에 전류가 흘러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류가 몸에 흐르기 위해서는 전위차가 있어야 합니다. 전위차가 '0'이면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이 말은 참새(날짐승)와 전선의 전위차가 '0'이라는 의미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앉으면 참새의 발과 전선은 서로 병렬연결 됩니다. 이 때 두발과 전선 사이의 저항이 0이 돼 전위차도 0이 됩니다. 병렬회로에서 따로 나누어진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와 전선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입니다. 전위차는 물의 수위 개념과 같습니다. 수위가 같으면 물은 어느 한쪽으로 흐르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전위차가 같으면 저항값이 적은 쪽으로 전류가 흐릅니다. 병렬연결된 회로는 저항값이 큰쪽보다 적은 쪽으로 전류가 더 많이 흐르는데 참새의 저항값과 전선의 저항값 중 참새의 저항값이 더 큽니다. 인체나 동물의 저항값이 전선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더 쉽게 이야기하면, 전위차가 수위라면 저항값은 물길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두 개의 물길이 있는데 물이 흐르기 쉬운 곳과 흐르기 어려운 곳 중 물은 어느 곳으로 흐를까요? 자연의 이치는 힘든 곳과 편한 곳 중에 늘 편한 곳으로 흐르려고 합니다. 전기의 입장에서는 갑자기 생긴 장애물인 참새를 향해 흐르기보다 잘 흐르도록 길이 잘 닦인 전선으로 흐르는 것이 당연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감전은 몸체의 두 부분 사이에 전위차가 생길 때! 전류가 흐르게 되어 몸체에 전기적 충격을 주는 현상입니다. 전류가 흐를려면 전위차가 존재해야 하는데요. 전위차가 0일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요. 이것은 마치 파이프로 연결된 두 물통의 수압차가 같을때 물의 흐름이 생기지 않는 것과 같은 경우입니다. 고압선에 참새가 두 다리로 전선 위에 올라설때, 두 다리 사이의 전선부분과 새의 몸통이 서로 병렬 연결이 됩니다. 이로인해 두 다리 사이의 전선부분에는 저항이 0에 가깝게 되고, 따라서 전위차도 0이 되는 것이죠. 병렬회로에서 분기된 회로들은 전위차가 모두 같기 때문에, 참새 몸통을 통한 두발 사이의 전위차도 0이 되는 원리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기줄에 있는 전기는 실제로 고압고전류로 흐르기때문에 감전의 위험이 많은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새가 전기줄에 앉을때에는 두 발이 하나의 전기줄 위에만 서있기때문에 저항이 더 큰 새의 발로는 전류가 적게 흐릅니다.

    반대로 전기줄 두개에 각 발 하나씩을 딛고서있으면 감전당하게됩니다.

    사람이 매달리게되면 발이 바닥에 닿거나 다른 물체의 닿는경우 전기가통하여 감전당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참새의 저항이 전깃줄의 저항보다 크기 때문입니다.

    참새의 두 다리가 전깃줄에 앉게 되면 병렬 연결이 형성됩니다.

    병렬 연결이 되면 저항이 작은 쪽에 전류가 많이 흐르게 됩니다.

    사실상 전깃줄의 저항이 0이기 때문에 참새는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깃줄 두 줄 사이로 참새가 앉게되면 감전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선옥 과학전문가입니다.

    조류도 전깃줄에 앉으면 감전됩니다

    두줄에 동시에 닿은 상태로 되면 감전됩니다전깃줄의 두줄은 변전소를 통하는데 각줄에서 나오는 전기가 양극이 다릅니다

    콘센트도 한쪽구멍만 넣으면 감전안되지만 양쪽에 넣으면 감전되어 큰일 납니다

    조류는 독수리처럼 큰 날개로 두줄을 다 접하면 감전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연곤 과학전문가입니다.

    첫번째 이유는 새들이 고압선에 앉지 않기 때문입니다.

    비교적 낮은 전압이 흐르는 저압선에 앉아 있으며 고압선의 경우 접촉을 하지 않아도 반경 30cm 근처에서 유도전류로 인한 감전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새들이 다가가지 않습니다.

    두번째 이유는 전선보다 새의 저항값이 크기 때문 입니다.

    새가 전선에 앉았을 때 새와 전선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이때 전류는 저항이 작은 전선으로 지나기 때문에 감전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론적으로 사람도 두팔로 전선에 매달려 있으면 감전이 되지 않는다고 하지만 절대 시도하시면 안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