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윤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 물의 끓는점이란 액체가 열 에너지를 흡수하여 기체로 변할 때의 온도를 일컫습니다.
참고로 순물질의 끓는점은 항상 일정하고, 물질에 따라 고유의 특성을 가지는 물성치입니다.
다만, 가열하는 불의 세기나 물질의 양에 따라 끓는점에 도달하는 시간은 달라지게 됩니다.
이를 좀 더 쉽게 풀어 끓는점에 도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과정1] 물(액체)의 온도가 높아지면서 증기압이 점검 증가하게 됩니다.
[과정2] 온도가 점점 더 올라가 물의 증기압이 외부압력(대기압)과 같아지는 구간에 도달하면 액체 내부에서는 기화(기체)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화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끓음'이라 부르며, 이 온도를 '끓는점'이라 하는 것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끓는점은 액체의 증기압이 외부의 압력과 같아지는 온도를 의미하는데요.
평상시 물의 (기준)끓는점이라 알고 있는 100℃는 1기압일 때의 온도를 말하는 것입니다.
이를 토대로 '외부압력(대기압)이 낮을수록 끓는점은 낮아지고,
반대로 외부압력(대기압)이 높을수록 끓는점이 높아진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
다만, 외부압력만 변경되는 조건 하에 끓는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이 달라지는 주요 변수는 끓는 온도의 변화라 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