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통관 기준에 대한 입법도 제안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기존의 수입흐름을 계속해서 학습을 하게된 AI가 새로운 품목 기준안을 입법 형태로해서 자동 제안하게 할 수 맀ㅣ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AI가 수입 통관 흐름과 품목 데이터를 학습해 새로운 기준안을 제안하는 건 충분히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HS 코드 분류가 애매하거나 신산업 품목이 계속 늘어날 때, AI가 기존 판례사례국제 기준을 비교해 합리적인 분류안이나 세율 적용안을 자동으로 뽑아낼 수 있습니다. 다만 입법은 법적정치적 합의 과정이 필수라, AI 제안은 어디까지나 참고자료초안 역할에 그치고 최종 결정은 국회나 정부가 해야 합니다. 결국 AI는 방대한 데이터를 근거로 사람보다 빠르게 기준을 설계해주는 보조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충분히 가능할듯 합니다. 간단하게 사람이 하는 일에 대하여는 학습 후 AI가 모두 수행이 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이러한 입법에 대하여 최종 결정은 사람이 하여야되는 점 그리고 이러한 입법을 위하여 AI에 대한 수많은 스터디가 필요한 점도 참고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통관 기준은 단순 데이터 정리보다 훨씬 복잡합니다. AI가 기존 수입 흐름과 분류 사례를 학습하면 특정 품목의 분류 기준이나 위험 요인을 찾아내는 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유사 품목 간 불일치가 반복된다면 AI가 일종의 기준안을 추천하는 식으로는 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게 곧바로 입법 형태로 연결되기는 어렵습니다. 법령 제정은 국제 규범과 조약, 업계 이해관계, 정치적 판단까지 다 얽혀 있어서 단순 패턴 분석으로 해결할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만 초안을 마련하거나 행정규칙 개정 검토 자료로 활용하는 정도라면 충분히 가능성이 있고 실제로 WCO나 각국 세관에서도 연구 단계로 시도하고 있다고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