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전기·전자 이미지
전기·전자학문
메로나
메로나23.01.23

블루투스의 동작 원리가 궁금합니다

요즘엔 참 블루투스로 많은것들을 연결해서 사용하는데

어떤 원리로 블루투스 기계들이 상호작용을 하고 동작을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다른 전파들과는 다르게 블루투스는 전파를 쏘아주는 장치와 전파를 받는 장치 간 전파암호화를 통해서 연동됩니다.

    전파가 특정 주파수나 패턴에 의해 암호화가 되면, 해당 장비들끼리만 연결이 되어 사용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블루투스는 OSI7 Layer와 같은 계층 가지고 있습니다.

    아래로 부터 RF, Link Controller, Link Manager, HCI Bottom, HCI Top, L2CAP, RFcomm, Application Profile

    순으로 되어 있죠.

    가운데 HCI 를 기준으로 해서 나누어 지는데 보통 헤드셋용 블루투스는 위의 Layer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휴대폰의 경우는 RF, Link Controller, Link Manager, HCI Bottom 까지만 있고, 나머지는 휴대폰의

    CPU에서 상위단 기능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저렴하게 만들기 위함이죠.

    즉 꼭 필요한 기능은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고 나머지는 휴대폰의 CPU에서 구현하여 사용하죠.

    휴대폰의 메모리는 상당히 크기 때문에 여기에 여러가지 프로파일을 올릴수 있는데 이 프로파일이

    블루투스 기능을 결정하죠. 즉 휴대폰이 블루투스 기능을 한다면 비용 추가 없이 여러가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데 문제는 소프트웨어 능력이죠.

    FTP(File Transfer Profile)을 예로 들면 FTP-Server와 FTP-Client가 있는데 LG 폰과 모토로라 폰의 경우

    FTP-Client가 없습니다. 이게 없으면 휴대폰에서 다른 휴대폰이나 PC에서 데이타를 못받습니다.

    반대로 FTP-Server가 있기 때문에 휴대폰에 있는 사진 등을 다른 기기로 보낼수가 있습니다.

    즉 반쪽 기능만 있죠. 그래서 LG폰을 가진 사용자 들이 질문이 이와 관련한 질문이 많죠.

    돈 드는 것도 아니고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건데 대기업에서 왜 넣지 않는지 이해가 안가죠...

    블루투스는 2.4GHz를 사용하고, 무선랜과 같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합니다.

    하지만 1초에 1600번 주파수를 바꿔가며 통신하기 때문에 보안상 유리합니다.

    무선랜과의 충돌을 없애기 위해 Adaptiver Frequency Hopping 이라는 것을 적용하고 있고,

    다른 기기와 연결하는 것을 페어링이라고 하죠. 이것의 개념은 원하는 기기와 연결하기 위해서 하는 절차입니다.

    이어폰으로 MP3를 듣는다고 생각하면, 먼저 MP3를 찾아야죠(블루투스에서 이과정을 검색이라고 합니다)

    그 MP3가 자기것인지 남의 것인지 확인해야죠 (이를 위해서 비밀번호를 넣습니다) 그리고 나서 이어폰을 MP3에

    꽂아 음악을 듣죠.(이 과정이 Pairing 이라고 합니다.)


  • 블루투스는 마스터 - 슬레이브 방식으로 구성됩니다.

    예를 들어 차에서 음악을 듣는다면, 스마트폰이 마스터이고 자동차의 스피커가 슬레이브 입니다.

    근거리에서 두 기기간의 주파수를 호핑하면서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것입니다.

    호핑이란, 데이터 전송 시 채널 하나를 독점하여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