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생제동이 뭐길래 멀미를 유발하나요?
항상 전기차를 타면 멀미가 나서 알아보니 회생제동 기능때문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회생제동 기능을 끄면 멀미가 덜하다던데 회생제동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상규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은
기존 내연기관의 브레이크 패드마찰에 의한
기계적 브레이크 시스템과는 다른부분에 있습니다
제동이 필요한 순간에 브레이크 밟을 시
브레이크 패드만의 마찰뿐 아니라
동력의 원천인 모터로 부터 발생하는 동력을
바퀴로 전달하는것을 중지하거
배터리 충전 경로러 전환 하여 동력을 끊고
배터리 재충전을 하는 방식입니다
이 과정에서 급격한 감속효과가 생겨버리면서
탑승자 입장에서는 울렁거림을 느끼게되는데
익숙한 기존 내연기관에 비해 이질감을 느낍니다
멀미라는게 눈으로 보는환경과 몸으로 느끼는 감각의 불일치에 따른 중추신경 혼란현상인데
이 회생제동 메커니즘이
그 혼란을 가중시킨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초기에 비해서 사람의 감각이질성을 줄이기위한
감속정도의 밸런싱 컨트롤을 통해
개선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한번씩 멀미로 고생하고 있습니다. ㅎ 회생제동은 전기차나 하이브리드차에서 사용하는 제동 방식으로
차량이 감속할 때 운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기술입니다.
이렇게 에너지를 회수하면서 제동을 하는 방식인데요, 일반적인 제동 시스템과 달리 엔진이나 모터를 이용해 제동을 걸기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회생제동은 전기차가 감속하는 과정에서 일부 충전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약간 울컥거림이 생겨 멀미나 승차감에 불편함을 유발하죠.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회생제동은 전기차의 기능입니다.
전기차는 차량의 속도가 줄어들 때 배터리를 충전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회생제동시 차량은 속도는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차량 멀미를 유발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내연기관 차량에 익숙한 사람들에게는 전기차의 승차감과 불규칙적인 움직임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불편함을 겪는 운전자들이 있어 회생제동 기능을 끄고 다니는 사람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