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타피오카
타피오카

광과민성 증후군이 후천적으로 생길 수 있나요?

나이
20
성별
남성

원래 광과민성 증후군이 없던 사람도 심하게 번쩍이거나 점멸하는 화면이나 어지러운 패턴의 사진을 보면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나요? TV가 망가져서 켤때마다 화면이 점멸해서 고쳐보려고 몇분간 화면을 봤는데 눈이 피곤해진 느낌이 들고 초점이 살짝씩 풀리는데요 사고를당해서 머리를 다치거나 하지않고도 후천적으로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광과민서 증후군이 후천적으로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일시적으로 오는 눈의피로로 스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이나 며칠지속된다면 병원에 가보세요

  •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적어주신 상황으로 미루어 광 과민성 증후군과 연관성은 낮겠습니다.

    광 과민성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치 않으나 유전적인 소인 외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광과민성 증후군은 주로 선천적인 요인이나 뇌 손상, 편두통, 간질 등의 기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건강했던 사람도 강한 빛이나 점멸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번쩍이는 화면을 수분 동안 본 후 눈의 피로감과 초점 이상을 느끼신 것은 광 자극에 의한 일시적 불편감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대부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호전되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된다면 광과민성일 수 있습니다.

    다만 사고로 인한 뇌 손상 없이 건강한 성인에게서 광과민성 증후군이 새로 발병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일시적 증상 이상으로 지속된다면 안과나 신경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눈의 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점멸하는 화면은 가급적 피하시고 TV 시청 시 적절한 밝기와 거리를 유지하세요. 장시간 집중할 때는 주기적으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 광과민성 증후군은 보통 소아기에 발달하며 발작을 동반합니다.단순히 눈이 피곤해진 느낌 갖고 광과민성 증후군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후천적으로 광과민성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번쩍임이나 점멸하는 화면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눈에 부담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V나 컴퓨터 화면 등에서 발생하는 번쩍임이나 점멸은 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장기적으로 눈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