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과민성 증후군이 후천적으로 생길 수 있나요?
원래 광과민성 증후군이 없던 사람도 심하게 번쩍이거나 점멸하는 화면이나 어지러운 패턴의 사진을 보면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나요? TV가 망가져서 켤때마다 화면이 점멸해서 고쳐보려고 몇분간 화면을 봤는데 눈이 피곤해진 느낌이 들고 초점이 살짝씩 풀리는데요 사고를당해서 머리를 다치거나 하지않고도 후천적으로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광과민서 증후군이 후천적으로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일시적으로 오는 눈의피로로 스나타나는 증상으로 보이나 며칠지속된다면 병원에 가보세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의사입니다.
적어주신 상황으로 미루어 광 과민성 증후군과 연관성은 낮겠습니다.
광 과민성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치 않으나 유전적인 소인 외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광과민성 증후군은 주로 선천적인 요인이나 뇌 손상, 편두통, 간질 등의 기저 질환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그러나 건강했던 사람도 강한 빛이나 점멸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일시적 또는 지속적인 증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번쩍이는 화면을 수분 동안 본 후 눈의 피로감과 초점 이상을 느끼신 것은 광 자극에 의한 일시적 불편감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대부분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호전되지만, 증상이 반복되거나 악화된다면 광과민성일 수 있습니다.
다만 사고로 인한 뇌 손상 없이 건강한 성인에게서 광과민성 증후군이 새로 발병하는 경우는 흔치 않습니다. 일시적 증상 이상으로 지속된다면 안과나 신경과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눈의 피로를 예방하기 위해, 점멸하는 화면은 가급적 피하시고 TV 시청 시 적절한 밝기와 거리를 유지하세요. 장시간 집중할 때는 주기적으로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광과민성 증후군은 보통 소아기에 발달하며 발작을 동반합니다.단순히 눈이 피곤해진 느낌 갖고 광과민성 증후군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후천적으로 광과민성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한 번쩍임이나 점멸하는 화면을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눈에 부담이 될 수 있고, 이로 인해 광과민성 증후군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V나 컴퓨터 화면 등에서 발생하는 번쩍임이나 점멸은 눈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장기적으로 눈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