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왕들을 종이나 조 이렇게 칭하는데 무슨차이가 있나요?
조선시대 왕들을 칭할때 종이나 조 이렇게 불려지는데 어떻게 다른가요?세종대왕은 업적이 워낙 많아서 잘 알고있지만 어떻게 차이가 날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와 종은 살아있을 때 붙여진 것이 아니라 사후에 종묘에 안치될 때 왕에게 붙여진 묘호입니다. 일반적으로 조는 나라를 건국한 공로가 있는 왕에게 붙여져 고려시대에는 태조 왕건만 조이고 다른 왕들은 모두 종을 붙였습니다. 조선시대에는 태조 이성계 뿐만아니라 세조 선조 인조 영조 정조 순조 등 6명의 와의 묘호에 조가 붙여져 헷갈려하는데 왜냐하면 중국이나 고려는 창업군주에게만 조를 붙였고 종보다 조가 더 높은 의미이기 때문에 6왕에게 붙여진 조의 의미가 의아하실 겁니다. 세조는 김종직 등으로부터 왕권을 지켰다는 의미에서 선조와 인조는 전란으로부터 백성을 구했기 때문에 영조와 정조는 영종 정종 순종이었으나 영조 정조 순조가 된 것은 영조는 탕평책으로 당쟁을 막아서 정조는 고종이 조상숭배차원에서 순조는 천주교세로부터 유교문화를 지킨 업적으로 조가 붙여졌습니다. 종은 정통적으로 왕위를 계승한 왕들이고 연산군이나 광해군은 폐위되어 묘호가 아예 없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임금이 죽으면 그 일생을 평가하여 종묘에 모실 묘호를 정하면서 조와 종을 붙입니다. 공이 있는 임금에겐 조(祖)를 쓰고 덕이 있는 임금에겐 종(宗)을 쓴다고 되어 있습니다. 조는 한 왕조를 창업하거나 그에 준하는 탁월한 공이 있다는 의미로서 나라를 세웠거나 변란에서 백성을 구한 큰 업적이 있는 왕들에게 붙였으며, 종은 덕으로서 나라를 다스린 임금에게 붙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공이 있으면 조로 하고, 덕이 있으면 종으로 하는 것입니다.
즉 나라를 세운 임금은 조, 계통을 이은 임금은 종이 붙여집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