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진주트리
진주트리21.07.30

오른쪽 인대파열로 치료를 했는데도, 다리에 쥐가 생기네요. 이유가 뭘까요

2월초 오른쪽 발목 인대파열로 깁스하고, 물리치료도 받고, 도수치료도 받았는데, 아직도 조금 아프기는 하지만, 예전보다는 훨씬 좋아졌어요. 그래서, 거의 5개월동안 병원 가는게 힘들어 이젠 안 갔어요. 그래도, 약간의 통증만 있을 뿐 크게 이상이 없었는데, 언제부턴가 앉아있으면 오른쪽 종아리, 허벅지가 쥐가 생겨요.

이유가 너무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쥐는 근육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탈수가 된 경우,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전해질이 몸 속에 부족할 때 .불편한 자세로 오랫동안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는 정확한 원인을 알 수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허벅지에서 종아리, 발까지 통증이나 저릿함이 오는 것을 좌골신경통이라고 합니다. 주로 허리 디스크가 신경을 눌러서 생기는 증상이나, 이상근증후군이나 좌골신경 자체에 손상이 와서 증상이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육이 과도하게 뭉쳐지는 느낌이 든다면 근육경직을 의심해 볼수 있습니다 .

    과도한 운동을 해서 근육이 비정상적인 수축을 하게 되면 근육경직을 일으키게 되는데 운동하면서 쥐가 나는 원인이에요.

    또한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이 부족할 경우에는 근육경련이 잘 일어날수 있습니다.

    평소에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시고 부족한 영양을 영양제로 먹는다면 근육경직의 발생빈도를 줄일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별개의 문제로 보입니다. 허벅지와 종아쪽에 쥐가 생긴다면 아마도 좌골신경통 양상으로 보이네요.

    골반에서 종아리까지 방사되는 통증이라면 좌골신경통(Sciatica)가 의심됩니다.

    가장 흔한 원인은 허리디스크등으로 인해 하지로 내려오는 신경근쪽에 염증이 생겨 방사통이 일어납니다.

    척추관 협착증이나 이상근 증후군, 근막통증 증후군인 경우에도 이런 통증을 호소 할 수 있습니다.

    우선은 진단을 위해 정형외과 재활의학과 등을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팔, 다리에 쥐가 나는 증상으로 문의주셨습니다.
    '쥐'가 나는 통증은 주로 근육 수축으로 인한 경련 증상입니다.
    원인으로는 갑작스런 운동이나 활동, 신경장애, 디스크, 당뇨, 혈관장애 등 다양합니다.
    다리에 난 쥐는 근육을 반대로 늘려주어 수축된 근육을 스트레칭과 마시지로 풀어주어야 하며, 스트레칭을 할 때는 갑작스럽게 당기지 말고 천천히 해야 합니다.
    스스로 마사지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사람이 핫팩이나 따뜻한 것을 이용해 찜질을 해주거나 뿌리는 파스 등을 이용해 뿌려줍니다. 근육 통증을 다 풀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가 가면 재발하기 쉬우므로 충분한 휴식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쥐가 나지 않는 예방방법입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1. 다리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는 꽉 끼는 의류와 하이힐은 피하세요.
    2. 비타민과 마그네슘, 칼슘이 풍부한 음식을 잘 챙겨 먹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3. 운동 전에는 충분한 준비운동과 스트레칭을 해주어야 합니다.
    4. 운동 중에는 근육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로 시작해서 운동량을 늘려야 합니다.
    5. 운동 후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보충해 줍니다.
    6. 틈틈이 발바닥을 잡는 발목 스트레칭을 해주면 혈액순환을 도울 수 있습니다.
    7. 잠자기 전 누워서 두 팔과 다리를 들어 올린 뒤 덜덜 털어 내는 동작을 합니다.
    8. 족욕을 하면 혈액순환 개선과 다리에 쥐가 나는 것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수술 후 해당 부위 근육을 잘 사용하지 않아서

    퇴화가 온것같습니다.

    규칙적이 ㄴ운동을 해주세요.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이전과 다르게 힘이 잘 안들어가서 아마 다른 근육을 써가면서 자세 유지를 할 것입니다. 그러니 평소 안 쓰는 근육을 열심히 쓰기 때문에 쥐가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허리디스크나 협착증등의 증상일 수 있으니



    병원(보통 정형외과)에 주기적으로 내원하시고 상담을 받으시는것이 좋습니다.

    (허리에 문제가 있으면 다리가 저리거나 감각저하가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수슬적인 방법으로 치료할수도 있고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할 수 도 있습니다만,

    이러한 기준은 엑스레이 등의 자료가 필요하여 확답드릴수가 없습니다.


    일단, 허리에 부담을 주는 행동을 하시면 안됩니다.

    특히, 허리를 구부렸다 펴는 행동이 안좋으신데,

    예로, 물건을 들때 허리를 편채로 들어야 하십니다.


    보통 급성허리통증의 경우, 한달정도 쉬시면 자연스럽게 치유되는것이 보통이므로 휴식을 많이 취하셔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좌골신경통이 의심됩니다.

    -좌골신경통은 허리나 엉덩이에서 시작하여 다리로 뻗치 듯이 아픈 것을 이릅니다.

    원인

    -좌골신경통의 90%이상이 허리추간판탈출증(허리디스크)으로 추간판이 신경뿌리를 눌러서 발생하게 되며, 허리척추 4번째 및 5번째 사이 혹은 허리척추 5번째 및 엉치척추 1번째 사이에 자주 생깁니다.

    통증

    -좌골신경이 지배 부위에 통증이 불생합니다. 엉덩이나 허벅지 바깥쪽에서 시작해서 종아리 바깥쪽과 뒤쪽에 통증이 나타납니다. 저린 증상과 전기 오듯 찌릿한 증상이 자주 나타납니다.

    치료

    -비수술적 치료 : 통증 자체를 경감시키기 위한 약제 복용, 경막외 스테로이드 주사 등의 약물치료나 신경뿌리의 압박을 경감시키는 침상 안정, 견인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수술적 치료 : 탈출된 추간판 조각을 제거하거나 신경뿌리가 나오는 척수사이구멍의 협착을 없애 좌골신경통과 그와연관된 신경학적 장애의 개선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통 척추후궁절제술, 척추유합술 등을 시행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일종의 허리디스크나 협착증 또는 측만증의 증상으로 보이나



    허리통증의 원인에 따라 다양한 치료방법이 있으므로,

    병원(정형외과)에 가셔서 얼른 진료를 받으시는것이 좋습니다.

    (특히 허리쪽에 문제가 있으면 허벅지, 종아리, 발끝에 감각이상이 올수 있습니다.)


    특히 허리디스크는 만성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 꾸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스트레칭, 걷기, 물리치료등의 비수술적 방법을 동원해보시고, 계속적인 불편감이 있으시면

    MRI나 CT등의 정밀검사를 하셔서 수술적인 방법등을 사용해야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방법으로 자세를 바르게 하셔야합니다. 엎드려 누워있기, 바닥에 앉아있기, 허리구부렸다 펴는 행동 반복 등의 허리에 무리가 주는행동들을 제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목의 인대 파열 증상과 다리쪽으로의 저린 증상은 다른 원인으로 봐야 합니다. 앉아 있을 때 다리가 저린 것은 척추에서 신경이 눌려서 생긴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허리 디스크질환이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발목에 대해서는 이제 크게 불편하지 않다고 해도 허리 때문에 다시 한번 병원에서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목 인대 파열과 종아리 및 허벅지의 쥐 증상은 크게 연관이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능성이 있다면 부상을 입은 발목을 신경 쓰느라 지나치에 우측 하지에 힘이 들어가면서 증상이 발생하는 것입니다.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면 크게 신경 쓸 부분은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