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사일러스
사일러스23.07.18

고대 사회에도 깃발이 있었다고 하는데, 어떤 모양이었나요?

예전에 드라마에서 고구려의 삼족오가 그려진 깃발을 본 적이 있는데,

실제로 삼족오가 사용되었는지는 모르겠지만,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만 해도 국기, 군기 등의 깃발이 있었다고 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모양이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삼국시대 깃발도 지금과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습니다. 기다란 막대에 천을 매단 지금과 비슷한 모습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국기와 군기는 다양한 모양과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다음은 각 시대의 깃발의 일반적인 모습에 대한 설명입니다:

    1. 삼국시대: 삼국인데도 국기의 형태는 상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구려의 군기는 중앙에 삼각형 모양의 휘장이 달린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삼국 중 한 나라인 신라의 국기는 "황룡기"라고 불리는 금색 부대에 다양한 동물이 그려진 형태였습니다.

    2. 고려시대: 고려의 국기는 "향파기"라고 불리는 붉은색의 깃발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국기에는 금색으로 "태극기" 또는 "태극문양"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3. 조선시대: 조선의 국기는 "단군기"라고 불리는 흰색의 깃발이 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 국기에는 붉은색으로 "태극기" 또는 "태극문양"이 그려져 있었습니다. 또한, 군기의 경우에는 각 지방의 군대에서 사용하는 독자적인 군기들이 존재했습니다.

    참고로, 삼족오는 실제로 사용된 깃발인지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주로 드라마나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참고 하셔서 도움 되셨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7.18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구려 고분벽화 속에서 깃발을 들고 있는 모습이 등장한다고 합니다.

    이들이 들고 있는 깃발에는 ‘성상번’이란 글자가 적힌 깃발은 행렬의 주인공이 왕일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우리 역사에서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는 깃발 사용의 시작은 [삼국유사] <가락국기(駕洛國記)>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기록에 따르면 금관가야의 시조 수로왕의 부인인 허황옥이 서기 48년 붉은 기를 휘날리며 배를 타고 가야에 왔다는 것입니다. 고조선 시대의 깃발은 기록과 유물이 없어 알 수가 없습니다. 가장 오래된 깃발의 모습은 357년경에 만들어진 고구려 안악3호분의 벽화에서 찾아볼 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