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고귀한게논239
고귀한게논23923.01.24

아이가 편도가 보통 아이들보다 큰 편인데 치료법이 있을까요???

나이
42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아이가 편도가 보통 아이들보다 큰 편인데 치료법이 있을까요???

그래서 컨디션이 안좋으면 쉽게 부어 열이 자주 납니다.

따로 치료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아이들이 편도가 클 수 있습니다. 편도는 성장을 하면서 점차 퇴화를 하게 됩니다. 그래서 기다려볼 수는 있지요.

    다만 편도가 너무 커서 코막힘도 심하고 입으로 숨을 쉰다면 수술로 제거를 해 줘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도 의사입니다.

    지속적, 임상적으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에 치료합니다. 예를 들어 아데노이드의 증식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중이염, 부비동염의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 만성적인 코막힘, 구강 호흡으로 인한 치아 부정교합, 안면 발달 장애, 수면 무호흡증이 생기는 경우에는 치료해야 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수술을 통해 아데노이드를 제거하는 것입니다. 만약 이를 제거하지 않으면 합병증으로 인한 항생제의 과용, 안면 윤곽의 변형과 발달 장애, 수면 무호흡으로 인한 학습 능력 저하 등의 합병증을 동반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편도는 임파선이 풍부한 신체 기관으로 비대한 경우 수술로 제거하기도 하지만 제거후에도 편도염이 발생할 수는 있습니다. 감기라고 통칭하는 경우는 대부분 상기도 감염을 의미합니다. 이는 기도 의 상부, 즉 코, 부비동, 인두, 후두 등에 급성 감염 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코막힘, 인후통, 편도염, 인두염, 후두염, 부비동염, 중이염, 감기가 대표적입니다. 반면 하기도 감염은 그 하부에서 발생하는 감염증이며 주로 폐렴이 이에 해당합니다. 그러므로 감기에 걸리지 않으려면 적당한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손세정을 열심히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편도가 너무 크거나 편도의 문제로 인하여 염증이 자주 발생한다면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수 있습니다. 편도의 절제는 꼭 전문의와 진료 이후에 결정하시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