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한국 노인들은 왜 양반사회나 독재정권에 복종하나요?
한국 사람들의 역사의식을 둘러보면 정치적 경험이 많고 뉴스나 학술자료를 본 사람들에게서 훤히 드러나더러고요.
하지만 할머니와 할아버지 뻘 되는70대 이상 어르신들의 어린 시절을 둘러보면 서 질문을 해봤더니 학교가 적었고 시골이나 산에 사는 역사적 일들을 많이 겪었다고 대답해요.
그런데 노인들은 양반사회나 독재정권 때 대통령을 하셨던 정치인들 이야기릉 주고 받았어요.
왜 노인들은 청소년이나 젊은 세대, 중년들에 비해 우리나라의 역사의식이 부족한 경우가 많아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연령이 들 수록 보수화 하는 경향이 커진다고 합니다. 연령이 들수록 경제적으로 안정된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보수적 경제 정책을 지지하게 만드는 경향이 큽니다. 또한 특정 세대가 겪은 역사적 사건이나 사회적 변화가 그 세대의 정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쟁이나 경제 불황 같은 사건을 겪은 세대는 특정한 정치적 성향을 가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나이가 많다고 또는 지금 노인 세대들이 역사 의식이 부족하다 단정짓는 것은 틀린 말입니다.
아무래도 집회나 운동등 육체적으로 두드러져 보이는 일에 젊은이들이 나서게되니 그렇게 착각할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