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7

은행금리가 미국과 동일해지는 경우, 지금 처럼 일정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것인가요?

은행금리가 미국과 동일해지는 경우, 지금 처럼 일정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각각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게 되는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신중한하마99
    신중한하마9923.05.28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차이가 나게 되면 우선 국내에서 투자금이 빠져 나갈 수 있습니다.

    또한 환율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금융안전성이 약화될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가 높은 곳으로 자본력이 옮겨다니기 때문에 유출을 막으려고 한국이 금리를

    따라 올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금리가 같으면 좀 더 이익이 나는 곳으로 자본들이 움직일 것이고 예의주시하겠지요

    금리가 비슷하든 같든 우리나라 경제는 외부요인 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없네요 현재로서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보통 미국보다 높아야 하며

    지금처럼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경우에는

    달러 환율이 오르고 외화자본 유출이 우려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금리가 미국과 일정이상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문제점은 달러환율의 상승입니다.

    한국의 기준금리는 작년 6월을 기점으로 미국보다 낮은 상황이 되었는데, 미국은 자국의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 6월을 기점으로 4회연속 0.75%의 금리인상을 하였던 것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0.5%의 금리인상을 하면서 미국의 금리를 쫓아갔습니다. 우리나라가 이렇게 소극적으로 금리인상을 하게 되면서 달러환율은 작년 9월 1,470원까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가 완화되면서 달러환율은 지속적으로 조금씩 하락하면서 현재의 환율인 1,330원대의 환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기준금리인상기조가 이제는 정점에 다다르게 되었고 향후 금리인상 가능성이 없어짐 만큼 현재의 1.75%의 금리격차 수준이 유지된다면 달러환율은 오히려 점차적으로 하락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 이유는 미국이나 한국 모두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없으니 당분간 1.75%가 유지되고 향후 미국의 인플레이션 수준이 낮아지게 된다면 미국은 우리나라보다 더 빠르게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높으니 이 1.75%라는 금리 격차는 좁혀지게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달러환율은 하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입니다.

    그렇기에 지금 우리나라가 기준금리를 동결하였다고 하여서 경제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것은 전혀 없으며,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상하지 못하였던 가장 큰 이유는 뉴스에서도 많이 나오고 있듯이 PF대출의 연체 증가와 저신용자대출의 연체 증가 즉 '부채리스크'가 우리나라의 가장 큰 경제위기의 뇌관이기 때문에 금리를 올리지 못하였던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