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떼쓰기에 부모가 어떻게 태도를 조절해야 할까요??
아이의 떼쓰기나 짜증에 부모가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현실에서는
상황에 따라 매번 다르게 반응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훈육 기준이나 감정 조절법을 실천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떼쓰기 + 짜증은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사용합니다.
그 이유는 아직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전달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에 자신의 감정을 행동으로 표현하는데요.
행동의 표현 수단은 떼쓰기, 울기, 짜증, 물건 던지기, 화내기, 대들기 등의 있습니다.
훈육은 단호하고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라는 것은
오늘의 기분에 따라 이랬다 저랬다 하며 아이를 훈육하게 되면 아이는 어떠한 부분이 잘못 되었는지를 이해하기 힘들고 또 어떻게 대응을 해야할지 난감한 상황에 놓이기 때문에 단호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로 아이를 훈육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훈육의 기준은 설명을 해드리면
아이가 무언가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단호하게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알려주고 왜 그 행동이 잘못 되었는지 이에
관련된 이유를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적절하게 설명을 해준 후, 아이의 행동을 바로 잡아주면 좋겠습니다.
또한 훈육이 끝나면 아이가 부모님에게 혼이 나서 마음의 상처를 입었을 아이의 감정을 다독여 주는 것도 필요 하겠습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짜증을 낼 때 부모의 일관된 태도가 무엇인지
어떻게 조절을 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떼를 쓸 때는 어떻게 대처할지 난감하기만 합니다.
또한 그런 상황에서는 어떤 말을 해도 통하지 않습니다.
어느정도의 원칙을 세워서 일관성 있게 훈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떼를 쓰고 우는 행동에 반응을 해주다보면 그 행동이 강화가 될 수도 있습니다.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고 관찰한 상황을 말해줍니다.
그런 다음 상대방의 감정을 이야기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음부터는 원하는게 있을 때는 울거나 고집을 피우지 말고, 직접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이는 아이이기에 그러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하면서, 아이의 행동에 감정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아이의 행동에 일관적으로 바라보면서, 반복해서 설명한다는 마음가짐을 가지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고민지 보육교사입니다.
먼저, 부모는 일관성있는 태도를 유지하는것이 중요합니다
떼쓰기를 한번에 받아주거나 가끔식 무시하거나 할경우 아이는 혼란을 느끼고 떼쓰기가 효과적인 행동으로 인식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떼쓰기가 시작될 때마다 일관된 반응을 보이며, 떼쓰기로 원하는것을 얻을 수 없다는점을 분명히 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부모가 너무 감정적으로 반응하거나 화를 내는 것은 아이에게 더 큰 혼란을 줄 수 있으므로 차분하고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것이좋습니다
두번때로,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것도 필요해요
아이가 떼를 쓰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배가 고프거나 피곤하거나 감정적으로 불안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너무 부정적인 행도응로만 바라보지말고 그 뒤에 숨겨진 감정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는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떼를 쓴다고 원하는 것을 바로 들어 주지 않습니다.
기존에 세워둔 규칙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에게 대안을 주고 아이가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의 올바른 행동과 말투에 칭찬과 보상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미숙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떼쓰기에 부모의 역할이 매주 중요합니다
아이들이 떼를 쓰는 이유는 감정을 표현 하는 방법이 부족 하기 때문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공감해 주세요
"00아! 지금 속상하구나!"
감정을 말로 표현할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지금 어떤 기분이야?"
아이가 떼를 쓰면 부모님이 감정적이 되기 쉽습니다
차분하게 대응하면 아이도 쉬 누그러 질수 있습니다
일관된 규칙을 적용해주세요
아이가 감정조절 능력을 키울수 있는 활동을 찾아 해 보세요
파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거 떼쓰기를 계속 보인다면 부모는 반응하지않고 아이와 규칙을 정해서 이러한행동을 하지않도록 지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