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요리조리마수리346
요리조리마수리34623.09.06

아이의 잘못을 타이를때(훈육시에) 부모의 정석적인 태도는 무엇일까요?

엄격하면서 단호하게 훈육하라는 말이 솔직히 잘 와닿지가 안는게 현실입니다. 저도 사람인지라 5살 아이가 심하게 신경거슬리게 하거나 예이없는 모습을 보면 화부터 나는데요.

훈육을 해야할때 어떠한 태도가 부모가 행해야하는 정석적인 모습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 때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지 마세요. 그리고 이유를 말하지 않고 꾸짖지 말아주세요.

    일관성을 가지고 훈육하고 체벌은 절대 금물입니다.

    그리고 타인이 보는 앞에서 꾸짖지 마세요.

    과거의 일을 들춰내서 꾸짖지 말아주세요.

    가장 먼저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그 다음 아이와 규칙을 정해보세요.

    다른사람을 개입시키지 말아주세요.

    꾸짖은 후에 안아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하늘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순하게 잘못했고 벌을 어떻게 받고 상을 얼만큼 받을지만 훈육하는것이 아닙니다. 어떤일이 있었을때

    왜 그러했는지 원인,이유를 알아보시고 감정에 대해

    공감을 해보시는 과정도 중요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7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무조건적으로 공감과 이해만 한다면 적절한 자존감을 형성하기 어렵습니다. 훈육이 필요할 경우에는 적절한 훈육이 제공되어야 하는데요. 평소에는 공감해주고 대화하는 것이 가능하더라도 아이가 잘못하여 부모님이 화나는 상황에서는 대화가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중요한건 아이의 자존감이 혼나는 상황에서 더욱 낮아진다는 것입니다. 감정은 다 받아주되 행동은 잘 고쳐주셔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같은 원칙을 가지고 훈육에 임하시면 아이의 자존감을 낮추지 않으면서도 적절한 행동 수정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감정을 빼고 아이가 잘못한 부분에 대하여만

    훈육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훈육은 어려운 것이 맞습니다. 감정을 억제하고

    아이 행동을 이성적으로 바라봐야 하는 것입니다. 아이의 올바른 성장 발달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부모의 역할입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가 날 때는 우선 마음 컨트롤을 하시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심호흡을 먼저 하신 후, 아이의 시선에서 아이의 입장이 되어보셔서 아이가 왜 이러한 행동을 하였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도록 하세요,

    그리고 아이에게 왜 이러한 행동을 하였는지 그 이유에 대해 먼저 물어보세요.

    아이의 이야기를 다 들어주시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시고, 아이의 감정을 공감하신 후에, 아이의 잘못을 짚어주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아이를 훈육할때 부모님의 기분이나 감정이 들어가면 안돼요.

    아이의 잘못됨을 훈육하는거라 부모님 감정이 들어가면 아이는 상처 받을 수 있어요.

    아이의 눈을 마주보면 단호하게 이야기해줘야 돼요.

    간단하게 잘못한 행동과 안돼는 이유를 이야기 해주고 아이가 생각해서 사고할 수 있는 시간을 주면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때문에 아무리 화가 나셔도

    무작정 나의 화남을 앞세워서 아이를 혼내시면 안되고

    자리에 앉혀서 아이의 잘못을 알려주시고재발시에 엄하게 혼내시야 되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은 잘못을 했을때 즉각적으로 하되 사람이 없는 장소로 이동하여 잘못한 것에 대한 올바른 지도가 되어야 하며, 과거의 행동을 들추거나 하지 않고 훈육 과정에서 양육자의 감정이 실리게 되어 아이가 기분이 상하게 된다면 되려 반항심만 커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감정적으로 대하지 않고

    아이의 잘못을 스스로 느끼게끔

    혼내시고 흔들리지 않는다는 것이

    필요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백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단호하면서도 친절한 태도가 중요합니다.

    안되는 것에 대해서는 안된다고 알려주되

    아이가 무서워하지않도록 부모님이 너를 아끼고 사랑하기 때문에 알려주는 것이라고 표현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화나면잠시진정하고오세요.

    화가가라앉은뒤에 훈육과교육을해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가 아이가 말을 듣지 않는 다고 소리를 지르고 야단을 치기 보다는 훈육을 통해 옳고, 그름, 또한 하지 말아야 할 것들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임을 항상 생각해야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숙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잘못을 지적할때는 아이의 눈을 바라보고 그 시점에 뭐가 잘못되었는지를 말해 주어야합니다. 소리를 지르고 화를 내기보다는 차분한 목소리로 평소와는 다른 톤으로 구체적으로 또박또박 훈육을해 주고 개선되었을때에는 나름 노력을 하고 염두에 두는것이므로 칭찬을 해주는 것도 잊지 않아야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을 할 땐 감정이 들어가 있으면 안됩니다

    아이의 잘못된 부분에 대해선 정확하게 짚어 주시고 바른 행동교정을 시켜 주셔야 합니다

    사랑이 베어 있는 합리적인 훈육을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너무 예의없거나 생각에 어긋난행동을 할때 화를 내기보다는

    지금이 아이에게 훈육할수있는 좋은기회다 이번에 이것을 고쳐줄수있겠다

    라고 생각하며 아이에게 화를 내기보다는 수정의 기회가 있다는것을 생각해보고

    자신이 연습하고 생각한것을 아이에게 실행해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