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달팽이
달팽이

치킨 가격은 왜 오르기만 하고 떨어지지는 않나요?

예를 들어 조류독감으로 인해 치킨 가격이 상승을 했다고 쳤을 때, 치킨의 가격은 왜 조류독감이 끝나도 떨어지지 않는 건가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물가와 같은 경우 한번 오르면 떨어지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것을 보고 하방경직성이라고 합니다.

      자본주의 시스템상 물가는 장기적으로 보았을 떄, 상승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기도 합니다.

      30년 전 아이스크림 가격과 현재의 아이스크림 가격을 비교해보시는 것도 좋은 예시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치킨 가격을 끌어올린 가장 큰 요인은 배달료로 분석됩니다. 배달료는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보통 배달 애플리케이션(앱)이나 배달 대행 중개 업체를 통해 배달을 하는데, 중개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1500~2000원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여기에 실제 배달 비용은 따로 냅니다. 보통 4000~5000원을 소비자와 나눠 부담하는데, 이마저도 눈이나 비가 오면 가격이 오른다. 최근에는 일부 지역 배달 업체가 배달료 500~1000원 추가 인상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의해정해지고 고인플레이션 상황에서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데 원자재가격등이 하락하더라도 기존 소비물가심리로 인해 한번올린가격은 원자재가격등이 하락하더라도 쉽게 반영이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는 하방경직성이 있기 때문에 한 번 오르면 떨어지기는 쉽지 않습니다.

      • 라면이나 과자 등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소비재만 봐도 가격이 떨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 그래서 라면과 같은 서민 제품의 가격인상에 정부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입니다.

      • 또한 하방경직성의 대표적인 예로 노동 임금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치킨 가격에는 생닭 가격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식용유 나 파우더, 튀김 가루 등 소요되는 재료가 있습니다.

      생닭 가격이 일시적으로 하락을 했다고 해도 이러한 재료의 가격이 내리지 않은 이상 치킨 가격 자체는 떨어지지 않을 것 입니다.

      요즘은 배달비까지 추가되기 때문에 치킨 가격이 내리기는 어려울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