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노련한이구아나211
노련한이구아나211

실업급여 하한액 질문 드립니다

[A직장]

2020.5월 ~ 2023.3월 일용직


상용직 전환 후 2023.4월 ~ 2023.11월30

(주5일 1일주소정근로시간7시간)


2023.12월.1~2023.12.31일 권고사직 퇴사

(주5일 1일주소정근로시간8시간)



1.이때 하한액으로 받는 실업급여가

2023년에 퇴사했으니까

61568원 x 150일 = 9235200원 맞나요?

퇴사일 최저시급 기준으로 받는다고 알고있는데

2024년 하한액으로 받는다는 답글을 받아 재질문드립니다


————————————————————


현재 이직확인서는 직장에서 전송한 상태이며

실업급여 신청은 하지않았습니다

같은 직장 마지막3개월(10,11,12월)

1일주소정근로시간이

10월-7시간, 11월-7시간, 12월-8시간이라

8시간 하한액(6만원 이상)으로 받을수있는걸로 아는데


2. 제가 지금 다른직장에서 일용직으로 단 하루만 일을

하게 될 경우에 마지막 3개월중 타직장에서 근로한적이 있으므로 12월에 일한 1일8시간 하한액이 아닌

3개월평균(7시간 7시간 8시간)으로 계산되서

실업급여 하한액이 7시간이 되서

오히려 줄어들게 되나요?


3. 만약 줄어들지 않는다면 단 하루만 일용직으로 일할경우 2023년 하한액이 아닌 2024년 하한액으로 받을수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