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두라의 관찰학습과 반두라의 학습이론에 대해서
반두라의 관찰학습의 단계에 대해서 궁금하고, 반두라의 이론에서 인간은 스스로 행동을 강화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특정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강조하고, 개인이 지닌 인지적 요인의 영향력을 강조한다면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것 같은데 학습은 사람, 환경 및 행동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짐을 강조한다는 것이 이해하기 힘든데 이를 알기 쉽게 설명 부탁드립니다.
반두라의 이론에서는 인간은 스스로 행동을 강화할 수 있음을 강조하고 특정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신념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개인이 지닌 인지적 요인의 영향력을 강조하므로 개인에 초점을 맞추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반면에 학습은 사람, 환경 및 행동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즉, 개인의 행동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되며, 개인의 인지도 마찬가지로 주변 환경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반두라의 이론은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두라는 이와 같이 주장을 하였습니다.
직접적 경험을 기초로 한 조건 형성이론을 넘어 사람의 인지적 작용을 통한 습득과 학습을이야기하였다는데요. 반두라는 복합적 사회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였고, 사회적인 환경 내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이 된다는 것을주장하였습니다.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은 모델링을 통해서 사회학습이 이루어진다고 볼수있으며
긍정적 모델이 있을수록 아이의 행동이 강화되고 발전된다고 볼수있을것입니다.
반두라의사회학습이론
1.모방을통해사회과정학습
2.자신과비슷한 사람 긍정적인것은모방
3.그렇지않고위험한것은피함
참고바랍니다
사회학습이론은 사람의 행동은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주어진 상황을 관찰하고 모방하는 정신적 처리과정을 통해 학습된다는 이론 입니다.
사회학습은 대리학습 이라고 합니다, 사회학습이론은 개인의 행동은 그 행동이 학습된 배후조건을 고려할 때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이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이나 어떤 사건을 통해 새로운 행동을 배울 수 있다는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의 경험이나 행동을 관찰하고 학습하여 배우고 행동을 옮긴다 라는 것 입니다.
관찰은 행동과 동일시 되기 위해서는 강화를 통해 수행될 때 까지 잠복해 있습니다.
잠복해 있는 동안 관찰자 내부에서는 학습과정이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기에 이러한 사회학습이론은 다소 인지적인 경향이 있음을 알게 해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