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초등학교에서 선생님과 상담할일이 많이 없는건가요?

초등학교에서 큰 문제가 없는 친구라면, 친구와 정말 크게 신체적으로 부딪히고 싸우지 않는다면 상담할일이 없는건가요? 유치원과는 달라진다고 하는데, 어떤 마음가짐으로 학부형이 되어야 하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학교에서 선생님과 상담할일이 많이 없다면 사실 아이가 크게 문제가 없다고 생각을 하시면 되겠습니다. 하지만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많은 관심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부모님께서 아이에게 지속적으로 관심을 보여주셔야 되겠습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아이와의 시간을 많이 보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또한 아이들이 표현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떄문에 선생님과는 주기적으로 상담을 해주시는게 좋다고 생각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다면 상담할일이 많지는 않습니다

    유치원과 비슷하게 문제 행동이 없다면 크게 걱정할것은 없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선생님과의 상담은 단순히 문제 해결을 위한 것이 아니라 아이의 성장을 돕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학교와 가정이 협력해서 아이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어떤 일이 있는지에 대해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아이의 상태 맞ㅡㄴ 조언을 받을 준비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수학이나 국어 등의 과목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을 때 혹은 수업에 집중하기 힘들어할 때 교사와의 상담이 유용합니다. 학업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은 부모와 학교가 협력하는 부분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초등학교에서는 유치원과 달리, 자녀가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 상담의 필요가 적어 보일 수 있습니다. 또한, 초등학생은 자기 표현과 감정 조절을 배우는 시기라서, 때때로 사소한 갈등이나 감정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어요. 상담을 통해 아이의 성장 과정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문제를 직접적으로 겪지 않더라도, 아이의 감정적 사회적 변화에 관심을 가지고, 필요할 때 선생님과 정기적인 대화를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학교 생활에 대한 열린 마음과 지원을 보여주면서, 자녀가 자신감을 가지고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점을 참조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명희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학교에 가게되면 선생님 말씀은 잘 듣는지, 학업은 잘따라다는지, 친구들과는 사이좋게 지내는지등 부모로서 걱정이 되는 부분입니다. 아이가 학교를 다니면서 특별한 일이 없다면 상담할 일은 별로 없습니다. 다만 아이가 집에서 하는 행동과 학교에서 하는 행동들이 다를수도 있기 때문에 부모님께서 아이의 학교생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궁금한 사항들이 있을때는 담임선생님과의 상담을 통해 아이의 학교생활이 어떤지 이야기를 들어보는 것도 좋다고 봅니다.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큰 문제가 없는 경우 상담이 자주 필요하지는 않지만 아이의 학습이나 사회적 문제에 대해 선생님과의 소통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학부모로서 자녀의 발달을 잘 이해하고 필요시 상담을 요청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큰 문제가 없을 경우 상담이 자주 있지는 않지만 학부모는 자녀의 학습과 생활에 관심을 기울이며 선생님과의 소통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적응상태를 꾸준히 확인하고 필요시 상담을 요청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교에서는 유치원과 달리 선생님과의 상담이 줄어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이 점점 독립적으로 성장하고, 교우관계나 학업 문제에서 어느 정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큰 문제가 없다면 선생님과의 상담이 자주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학부모로서 아이의 학교생활을 이해하고 지원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 상담의 기회가 적더라도 학기 초나 학기 중에 마련된 상담 시간에는 아이의 학교생활, 학업, 친구 관계 등에 대해 선생님께 궁금한 점을 여쭤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가 집에서 학교 생활에 대해 이야기할 때 관심 있게 들어주고, 필요시에는 담임 선생님과 연락을 통해 적절한 지원을 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아이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키워주려는 노력도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가정에서 긍정적인 학습 습관을 키우고, 친구 관계나 갈등 상황을 스스로 해결해보도록 격려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학부모로서 아이가 점차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키우면서도, 언제든지 도움이 필요할 때 믿고 의지할 수 있는 부모의 역할을 유지하는 균형 잡힌 마음가짐을 가지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