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이중체감잔액법은 상각할 때 잔존가치를 차감하지 않나요?
다른 정액법이나 생산량비례법의 경우에는 최초 상각시 감가상각대상금액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하던데 이중체감법은 왜 잔존가치를 빼지 않고 상각률을 곱하나요?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중체감잔액법은 초기에 상각율을 높이고 시간이지날 수록 상각율을 낮추는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감가상각이 최초 구입시점에서 가장 크게 발생한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중체감잔액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말씀대로 이중체감잔액법에서 감가상각비를 계산하게 되면
잔존가치를 차감하지 않게 됩니다.
이는 이중체감잔액법의 특징으로 매년 잔액이 감소하는 비율이 커서
초기에는 많은 감가상각비를 인식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감가상각비가 줄어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중체감잔액법은 자산의 내용연수 초기에 감가상각비를 많이 인식하고,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감소시키는 가속상각법의 일종입니다. 정액법이나 생산량비례법과는 달리, 최초 상각 시 감가상각 대상 금액에서 잔존가치를 차감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이중체감법은 자산의 장부금액에 매년 일정한 상각률을 곱하여 감가상각비를 계산합니다. 이중체감법은 자산의 가치가 내용연수 초기에 급격하게 감소한다고 가정하기 때문에, 초기 상각 시에는 잔존 가치를 고려하지 않고 취득원가 전체를 기준으로 높은 상각률을 적용합니다. 만약 최초 상각 시 잔존가치를 차감한다면, 이미 가속상각의 효과가 줄어들어 이중체감법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중체감법의 핵심은 자산 사용 초기 단계에서 최대한 많은 비용을 인식하는 데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이중체감법은 각 연도에 감가상각액이 감소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는 자산의 장부가치가 잔존가치보다 낮아질 수 있기에 상각을 중단하고 자산의 장부가치가 잔존가치 아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