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경쟁구도와 투자방향은?

엔비디아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이 에이아이 반도체 경쟁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한국 반도체 기업들이 이시장에서 어떤 위치에 있ㅇ며, 투자관점에서 주목해야할 핵심 포인트가 궁금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글로벌 AI반도체 탑기업인 엔비디아에 HBM을 납품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 또한 테슬라에도 납품을 하는 기업이 있습니다

    • 즉 현재 AI반도체 시장이 커질 때 마다 우리나라는 같이 수익을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고대역폭 메모리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관점에서는 해당 분야의 경쟁력 강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지정학적인 리스크를 계속해서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 주도 시장에서 삼성, 하이닉스는 메모리 중심 강세입니다. AI전용 칩 설계, 패키징 기술 확보가 투자 포인트입니다. 한국은 인프라 강점으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가 지금 AI 가속기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건 맞지만, 구글, 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들도 자체 칩을 개발하고 있고, 애플도 뉴럴 엔진을 강화하면서 AI 성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메모리 반도체 강국이라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HBM 같은 고성능 메모리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투자 관점에서 보자면, 국내 AI 칩 스타트업들은 엔비디아와 정면 승부하기보다는 NPU 개발에 집중해서 특정 영역에서 더 높은 효율을 제공하는 전략을 택하고 있는데, 퓨리오사AI처럼 데이터센터용 NPU나 딥엑스처럼 저전력 고효율 엣지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여주는 기업들이 주목할만 합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엔비디아 시장을 장악하다시피 한 GPU 시장에서는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경쟁력이 좋지 못합니다. 다만, 엔비디아나 여트 GPU, CPU 기업들에 고성능 반도체 공급이 늘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부문과 SK하이닉스에는 호기를 맞이한 셈입니다.

    AI 산업의 급성장에 따른 GPU와 CPU 사업 경쟁력은 다소 떨어지나 비메모리 반도체에서 벌어들인 수익을 기반으로 적극적인 투자를 하여 비메모리와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장에 GPU나 CPU 경쟁력이 떨어지더라도 해당 사업의 성장은 베메모리와 파운드리 사업 성장과 맥을 같이 합니다.

    아울러 미래 산업으로 삼성과 LG가 채택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공조 설비와 시스템 사업도 필수 불가결한 사업이며 나아가 엄청난 에너지가 필요로 하는 컴퓨팅 산업 발전으로 대체 에너지 산업도 육성이 반드시 필요한 부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 경쟁 구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현 시점에서는 엔비디아가 절대 강자이지만

    분명 이에 도전하는 기업들이 나올 것이기에

    그런 기업을 미리 예측하고 투자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