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4.01.02

피가 지혈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피가 어느 정도 나면 피가 굳으면서 지혈이 되는데, 피가 지혈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피가 지혈될 때, 어떤 과학적 원리에 의해 멈추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자한지어새54입니다.

    손상부위에 혈소판이 모이고

    혈소판이 부착되어 피가 굳고

    혈소판 혈전을 만들면 피브린이 혈소판과 적혈구를감싸서 응고덩어리를 만들어 손상된곳의 틈을막아서 지혈



  • 안녕하세요. 기쁜향고래73입니다. 상처 부위에 출혈이 시작되면 몸에서는 혈관을 수축해서 상처부위로 흐르는 혈액의 양을 줄입니다. 혈액의 흐름이 약해진 환경에서 혈소판이 상처부위에 쉽게 결합을 할 수 있게 됩니다.

    혈소판은 상처 부위에 드러난 콜라겐에 부착하려 서로 들러붙는 응집을 시작하고 서서히 지혈이 됩니다.

    처음에는 느슨하게 연결되어 있던 혈소판은 시간이 지나면 촘촘하고 단단하게 구조가 변하면서 피떡이 되는데 혈장속의 피브린이라는 단백질이 아교처럼 작용하여 피떡을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