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관련하여 공부를 하고 싶은데 어떤 책들이 있을까요??
경제에 대해서 공부를 해야 할거 같아요 어떤 책을 구매하면 좋을지 경제의 동향을 파악 하기 위해서는 어떤것을 위주로 공부를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각 자산별 특징을
먼저 알으셔야 할 것이며
이에 따라서 책을 읽으시고
금리와 환율 관련하여도 공부를 하신다면
경제 전반적으로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경제 관련해서 공부를 하시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경제 관련 공부를 하기 위해선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 것이 필요하며 이런 것은
결국 경제 관련 개론서 등을 읽으시면 도움이 되고
동시에 동향 파악을 위해선 경제 관련 뉴스를 보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관련 책을 공부하고 싶다고 한다면 원론 서적을 보고 싶다고 한다면 미시경제학이나 거시경제학을 추천합니다. 다만 원론 서적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면 서점에서 각 책을 읽어보시고 자신에게 맞는 책을 찾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것은 결국 어떠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번 서점에 가셔서 책을 읽어보시거나 도서관에 가서 책을 읽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관련 공부 입문 주요 도서로는 ‘하루 3분, 꺼내 먹는 자본주의’, ‘부자는 매일 아침 경제기사를 읽는다’,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1일’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에 대한 기초 개념을 쉽게 설명해주는 책들은 매우 많습니다.
EBS다큐프라임 자본주의: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책이자 다큐멘터리입니다. 자본주의의 작동 원리와 돈의 흐름을 매우 쉽게 설명해주어 경제의 큰 그림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맨큐의 경제학: 경제학의 가장 기본이 되는 원리를 담고 있는 교과서적인 책입니다. 10대 경제학 원리를 통해 수요와 공급, 인플레이션 등 핵심 개념을 체계적으로 익힐 수 있습니다.
돈의 속성: 돈을 대하는 태도와 부를 쌓는 원칙에 대해 현실적인 조언을 제공하는 책입니다. 경제 개념뿐만 아니라 돈에 대한 마인드셋을 바꾸는데 도움이 됩니다.
매일 아침 경제 신문의 헤드라인을 읽거나 경제 전문 뉴스 앱을 통해 주요 기사를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도 좋습니다. 용어가 어려워도 무시하지 말고 찾아보면서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라는 게 워낙 넓어서 처음부터 딱 집어 어디를 보라고 하기 애매하긴 합니다. 흐름을 잡으려면 우리나라 경제사나 세계 경제사를 다룬 입문서가 생각보다 도움이 됩니다. 이해가 쌓이면 신문 칼럼이나 경제 주간지 같은 시사 자료를 같이 읽는 게 좋습니다. 책으로는 경제학 개론서 같은 기본 틀을 다루는 것 하나와 최근 경제 이슈를 해설한 교양서 한두 권을 곁들이면 흐름을 잡는 데 무난합니다. 동향을 보려면 환율 금리 무역 흐름을 다루는 기사와 보고서를 꾸준히 읽는 게 제일 빠르다고 생각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맨큐의 경제학, 사쿠라이 다카시의 경제학 콘서트, 넛지, 화폐 전쟁 같은 책들이 이해에 좋습니다. 한국 상황은 한국경제 읽기 류의 저서를 병행하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기초입문서부터 공부하는게 좋습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맨큐의 경제학입니다 맨큐의 경제학으로 입문하면서 기초를 닦으시고 이후 실전경제를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되는 행동경제학의 넛지책이라던자 혹은 국내저자들이 대표적인 서저인 포스트 코로나나 부의대이동과 관련된 서적을 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이후 심화된 공부를 하고 싶으면 행동경제학의 저서인 대니얼 카너먼책과 거시경제학의 블랑샤르의 교재를 보시는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 동향을 잘 파악하려면 거시경제와 미시경제를 아우르는 기본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천 도서로는 “하루 3분, 꺼내 먹는 자본주의”, “최진기의 경제상식 오늘부터 1일”, “세계경제지표의 비밀” 등이 있습니다. 이들 책은 경제 흐름과 주요 지표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고,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경제 공부 초보자에게 적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