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영험한카멜레온36
영험한카멜레온36

치과의사 직업병으로 허리와 목에 만성통증이 있는데 어느병원부터 가보는게 좋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7
기저질환
허리통증,목통증
복용중인 약
멜록시캄

안녕하세요

남편 이야기인데 제가 대신해서 글 씁니다.

남편이 치과의사라 평소 목과 허리를 굽혀 일하다보니 허리와 목통증을 달고살고있어요.

저한테 힘든얘기, 앓는얘기를 잘 안하는 편이라 괜찮은 줄 알았는데, 가끔 통증올 때 먹는 약(멜록시캄)에 대해 제가 좀 찾아보니 이게 염증? 통증? 이 심할 때 먹는 약이더라구요. 그래서 생각보다 자주 아픈것 같아요.

게다가 살도 많이쪄서 (ㅠㅠ) 아무래도 허리에 부담이 더 가는 상황 같아 빨리 병원에 데려가려합니다.

관련 과가 여러가지가 있던데 우선 어디부터 가는게 좋을까요?

(정형외과, 신경외과, 마취통증의학과 등등..)

그리고 헬스PT를 보내려하는데, 본인 말론 운동하다 더 다칠 수도 있다며 안가려하는데 이게 맞는 소린가요??

평소 게으른 편이라 운동을 잘 안하려하다보니 저 말에 믿음이 잘 안가서요.

바쁘시겠지만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멜록시캄은 가장 기본적은 진통소염제입니다.

      꼭 염증이 많다기 보다는 통증조절을 위해서 사용하게되는 약입니다.

      허리나 목통증에 대해서는 알고계신것과 같이 신경외과, 정형외과,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진료를 하며 재활의학과도 진료를 합니다.

      지금은 수술을 할만함 통증이 심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재활의학과나 마취통증의학과에서 운동치료, 물리치료, 주사치료로 관리할 수 있겠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EaC9yC3NkRk

      https://www.youtube.com/watch?v=S_U_Eml4JiY&t=40s

      서울대학교 재활의학과 정성근교수님 영상입니다. 참고하시면 큰 도움이 되실겁니다.

      아마 팔다리로 방사통이 있지는 않으실거고 디스크탈출까지 걱정하실 필요는 없겠습니다.

      굽히고 숙이는 자세를 오래하고 있으실테니까 근육의 긴장에 의한 근육통이 많이 발생하실거고 디스크내장증정도는 있으실 가능성이 있습니다.

      올바른 자세와 운동이 관리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겠습니다. 진료중에 중간중간에 최대한 신전운동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헬스장에서 하는 근력운동들은 팔다리 근육에 집중되어있으며 등근육도 지금 훈련이 필요한 신전근들보다는 latissimus dorsi 같은 근육 강화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목과 허리를 신전시키는 근력운동을 재활의학과에서 배워서 해보시는게 도움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경추 전만이 사라지게 되면 추간판이 뒤로 밀리면서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실제로 최근 스마트폰으로 인해 경추 디스크 환자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고 많은 분들이 목 통증 및 결림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치과의사의 경우 늘 목과 허리를 숙이게 되므로 위험성이 높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근본적인 예방은 목 자세를 최대한 바르게 하여 척추 뼈를 올바르게 정렬하고 추간판 탈출증이 생기지 않게 줄이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맥켄지 운동이라고 하는 운동법을 추천합니다. 이는 허리를 곧추세우고 양팔을 만세 자세로 올린 다음 어깨 높이로 팔꿈치를 떨어뜨린 후 등을 당기면서 목을 뒤로 구부리는 신전운동을 해주는 것으로 자주 해주시면 상당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약물이나 침치료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일시적인 효과만 있어 항상 건강한 목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추나나 도수치료등도 효과가 있을 수 있고 경우에 따라 견인치료도 병행할 수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혹은 정형외과 의원을 방문하시어 정확한 진료 및 처방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장시간 앉아서 작업을 하신다면 목이 굴곡되지 않는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모니터를 본다면 눈높이 이상으로 맞추는 것이 좋으며 휴대폰을 사용시에도 눈높이 이상으로 유지하시고 베개도 경추베개 등으로 바꿔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어깨 와 목 통증의 경우 디스크등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신경외과나 정형외과등에서 먼저 진료를 보시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모두 목이랑 어깨 통증에 관해서 진료가 가능하므로 과에 따른 큰 차이는 없어 보입니다.

    • 1. 척추 통증 관련하여 진료 및 치료를 하는 과는 정형외과 및 신경외과입니다. 마취통증의학과와 재활의학과도 진료를 보지만 앞의 두 과를 더 추천드립니다.

      2. 체중 증가는 허리에 많은 부담을 주며 통증을 유발하고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헬스 PT를 적절하게 잘 받으면 코어 근육을 키워줄 수 있어 추천이 되는 운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정형외과, 신경외과, 재활의학과, 통증의학과 어디를 가셔도 좋습니다. 직업상 목과 허리를 구부리는 동작이 많기에 디스크 탈출의 위험성도 있고 척추 주변의 인대의 손상으로 인한 염좌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약물 복용, 물리 치료를 하면서 경과를 보시면 되고 증상이 심하다면 체외 충격파나 도수 치료, 주사 치료를 시행할수 있습니다. 평소에는 고개나 허리는 숙이는 동작은 최대한 피하시고 스트레칭을 자주 하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경추, 요추 부 통증이 심하신 경우 정형외과 또는 신경외과 척추분야로 내원해 보시는 것이 좋으며, 목, 허리 주변 코어운동을 통해 통증완화 효과도 있기 때문에 꾸준한 운동을 하시는 것이 증상완화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아무래도 치과 선생님들이 목 디스크가 많습니다. 고개를 계속 숙이고 일을 하셔야 되서 그렇지요. 진료 하시다가 틈틈히 스트레칭을 자주 해주시는 것이 필요하고, 통증이 심하다면 신경외과나 정형외과에서 확인을 해 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운동을 하셔야 체중도 줄어들고, 허리도 덜 아프실 거에요. 앞으로의 삶을 위해서 건강 관리 잘 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