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주식시장에서 미국은 버블이고 한국은 바닥이라는 말이 있는데 어떨까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이후 미국우선주의 및 주변국들과 관세 등의 부과를 하고 있는데요. 미국 경제가 버블이고 우리나라는 바닥이라고 하는데 경기가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버블이라는 말은 작년 초부터 나왔지만 여전히 상승하고 있고 터질줄 알았던 그 버블은 여전히 유지가
되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경제가 언제 하락할지 몰라서 두려움에 투자를 하지 못했다면 작년 폭발적인 상승을
누릴 수 없었을 것이며 우리나라 증시를 저가매수 해왔다면 손실 폭만 커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맞는 말일수도 있지만 단순히 가격이 비싸서 버블이고 싸서 저가매수다라는 관점은
맞지 않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주로 상대적인 밸류에이션 차이와 경제 상황을 비교한 투자자들의 의견에서 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은 기술주 중심의 강세장이 이어지며 높은 주가수익비율(PER)을 보이는 반면, 한국은 경기침체와 기업 가치 저평가로 인해 주가가 낮게 평가된 상황을 반영한 표현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경제가 버블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많아지고 있는데, 거품이 심하게 껴서 폭삭 주저앉을 위험성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의 경제가 바닥이라는 주장엔 동의하지 않는데, 지금보다 더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그동안 나홀로 경제 성장을 주도하고 AI섹터를 주도하면서 밸류에이션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현재도 높은 밸류와 사상최고지수를 경신 중입니다
이런 높은 밸류에이션에 대한 거품론이 한편에서 제기된것이며 한국은 작년 전세계 골찌 지수 상승률과 역사적 최대의 밸류에이션 하단에 있고 상장기업이익도 최대이지만 지수상승률은 오히려 마이너스다보니 바닥이라는 말이 나오는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시호정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 우선주의와 고립주의 정책은 관세 부과 및 무역 갈등을 일으켰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미국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부 경제 전문가들은 이를 버블이라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한국 경제는 현재는 안좋은 증시 수치를 기록하고 있지만, 올해 상반기 부터 점차 나아질것이라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버블이고 한국은 바닥이라고 생각하긴 어려운거 같습니다
작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2.2-2.3% 정도고 올해 한국은행이 예상하는 경제성장률은 1.60% 정도 입니다
작년보다 올해가 더 안좋다고 예상하는거죠 그에 반해 미국은 작년 G7 중 유일하게 2프로대 성장율을 기록했고 올해도 IMF 에서 예상한 미국 경제성장률은 2.8% 입니다
나홀로 잘 나가고 있는게 미국 경제죠 그러니 미국은 버블이고 한국은 바닥이란 말이 딱히 맞는 말은 아닌거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버블이고 한국은 바닥이란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현재 증시 시장을 그대로 반영해서 하는 이야기입니다.
미국은 너무 올랐고 한국은 너무 내렸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버블인 이유는 자금이 몰려서이며, 바닥이란 말은 자금이 빠져나가서입니다. 어떤것이 정답일지는 알지못하지만, 자금이 몰린곳이 더 탈출하기 수월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