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훈훈한두꺼비124
훈훈한두꺼비124

자원으로써 경제성이 없다는 건 어떤 의미인기요?

최근 우리나라에서 석유를 생산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우려로 석유 생산과관련해 의견이 나뉘던데요, 우려하는 의견 중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도 있더라구요. 자원으로써 경제성이 없다는 건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반갑습니다. 자원은 개발단계에서 기술력과 시간과 비용을 투입해 수익을 창출해야 합니다.이후 석유 생산과정을 거쳐

    석유 판매 가치에 대한 계산과 소요되는 투자비를 따져서 경제성 평가를 수행해야 합니다.

    즉 들어가는 비용대비 수익의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가치가 마이너스라면 굳이 개발을 할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문가 김찬우 입니다.

    생산에 들어가는 비용대비 해당 석유를 팔아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없으면 손해 입니다.

    우리나라의 비싼 인건비 및 장비사용료를 생각했을 때 해외에서 수입하는 가격보다 비쌀 것이기 때문에 해외판매도 불가하고 국내판매만 한다고 했을 때는 수천억을 들여서 채취를 해도 순이익이 흑자로 돌아가는데 수십년이 걸리게 되면 손해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석유가 그대로 나오는 것이 아니라 원유 상태로 나오는데 이를 다시 정유 해서 순수한 석유로 만들어야 하기때문에 비용은 계속 들어가게 됩니다. 그리고 현재 전지구적으로 탄소중립을 실천 중이므로 주요 탄소배출원인 자동차와 발전소는 전기차로 변환하고 발전소는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환을 하는 단계 이기 때문에 석유의 가치를 갈수록 떨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