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표현능력은 좋은데 사회성이 아쉬운 아이는 어떻게 해줘야 하나요?
자기 감정이나 생각표현은 참 잘하는데요. 다른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을 보면 걱정이 됩니다. 놀이터에서도 잘 어울리지 못하고 어린이집에서도 혼자 지내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부모로써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의사표현이 좋아도 사회성이 부족한 이유는 자기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미숙하기 때문 입니다.
즉, 가정에서는 활발히 의사표현을 뚜렷하게 하지만, 막상 또래,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은 잘 형성되지 않아서 이기 때문 이예요.
그렇기에 아이와 함께 역할극을 함께 하면서 상황에 맞는 행동,언어,제스처 그리고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방법을 알려주어 또래 및 다른 이들과 상호작용이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내성적인 아이들은 다른 친구와 어울리기가 쉽지 않고 먼저 나서는 것도 싫어 합니다
타고난 기질이죠 하지만 매사에 신중하고 꼼꼼한 성격은 장점이 될 수 있습니다
내성적인 아이들은 자기와 맞는 성격에 아이들을 만나면 잘 놀기 때문에 시간이 좀 필요 합니다
아이에게 왜 혼자 노는것이 좋냐고 항상 관심을 가지고 대화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큰 그룹보다는 작은 그룹에서 부터 상호작용 훈련을 시켜주도록 합니다.
친한 친구들 몇명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이들에게 편하고 덜 긴장되게 만듭니다.
아이가 친구들과 잘 지내는 모습에 긍정적으로 피드백을 주도록 하세요
가끔 집에 친구들도 초대하고, 같이 키즈카페나 보드게임장에 가서 놀면서 사회적 기술에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보육교사입니다.
이는 아이의 연령에 따라서 다를수있으며 만5세전이라면 크게 문제가 되는것은 아니나 그렇지 않다면 아이와 함께 역활놀이등을 통해서 친구에게 다가가고 이야기하는것을 연습해보시는것도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자기 감정이나 생각 표현은 잘하지만 다른 친구들과 지내는 모습이 걱정되는 경우, 아이의 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일단 아이와 대화하고 이야기를 나누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도와줍니다. 그리고 인사하기, 감사 표현하기 등의 예절을 가르침으로써 사회적인 상황에서 올바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 아이들은 협력과 공유를 통해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방법을 배우게 됩니다. 그러니 다양한 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보통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친구를 만들어주면 서로 어울리며 사회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_^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감정표현과 공감능력을 키우기 위해 그림책을 읽어주고 이야기속 인물의 감정을 함꼐 나누세요. 역할놀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을 연습하게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의사표현능력이 좋은데 사회성이 아쉬운 아이는 다양한 사회적 경험을 통해 그 능력을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친구들과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소규모 그룹활동을 하게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사회적 측면에서 능력이 떨어지는 부분 때문에 걱정이 꽤 많으신거 같습니다. 하지만 제가 봤을 땐 심각해보이거나 걱정할만한 수준은 아닙니다. 혼자 지내는 아이들은 그 나이 또래에 의외로 많습니다. 우선 아이의 자존감을 세워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무리 부모라도 아이의 속마음을 전혀 알수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잘 드러내지 않기 때문인데요. 이런 아이들은 어떤 말을 하면 '엄마한테 혼이 날거야' 혹은 '말을 했는데 관심을 안가져주면 어쩌지?' 등의 걱정과 염려로 가득한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자존감이 부족하거나 의존적인 성향을 가진 아이들은 친구 사귀는 것을 어려워합니다.
친구들 역시 자신감이 없는 아이에게 호감이 가지 않지요. 아이가 자존감을 갖고 의존적이지 않도록 평소에 칭찬과 격려를 아낌없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째로 아이에게 선택권을 주도록 하세요. 사소한 것이라도 아이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겁니다. 오늘 입을 옷을 고르고, 가지고 놀 장난감을 선택하고, 아이가 필요로하는 물건을 스스로 꺼내오게 하는 등 아이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면 자신에 대한 믿음이 생기고 자존감이 높아집니다.
세번째로, 친구를 만났을 때 자기 소개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친구를 만났을 때 어떻게 말을 해야할지 모르는 아이 들이 많아요. 이럴 때는 말 거는 방법을 차근차근 알려줘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