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힘센사자51
힘센사자5123.02.12

뜨거운 기름에물을 넣으면 왜 튀는걸까요?

후라이팬에서 뜨거운 기름이 끓고 있는데 잘못하여 물이 한방울 튀게 되면 엄청나게 타닥거리며 기름 방울이 튀게 되는데 왜 기름과 물이 만나면 이런 현상이 일어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기름은 성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물이 기름에 떨어지게 되면 물의 낮은 밀도와 기름의 높은 밀도가 상반되면서 기름 방울이 튀어나오게 됩니다.

    기름에 탄성이 있기 때문에 물이 기름에 떨어지면 기름이 움직이고 물은 그 공간에서 안정하지 못하게 됩니다. 물의 탄성이 낮기 때문에 기름 방울이 튀어나오게 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12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끓고 있는 기름에 물을 넣으면 물이 기화하면서 부피가 갑자기 커지기 때문에 폭발할 수 있습니다. 물은 밀도가 높아서 기름에 가라앉게 되고 끓는 기름의 온도는 200도시 이상이기 때문에 수증기로 기화되어 기름 밖으로 나오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물이 수증기로 기화되면서 부피가 약 1700배 증가합니다. 적은 양의 물을 끓는 기름에 넣었더라도 많은 양의 수증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름과 함께 갑자기 분출되면서 폭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성목 과학전문가입니다.

    음식에 뜨거운 기름을 넣으면 뜨거운 기름이 음식을 빠르게 익히고 겉면을 바삭하게 만들기 때문에 음식이 "튀겨지거나" 바삭바삭해집니다. 뜨거운 기름에 음식을 넣으면 수분이 증발하고 빠져나가면서 수증기가 발생합니다. 증기가 상승하여 음식 표면에 기포를 생성하고 이 기포가 터지면서 음식이 "튀겨지거나" 바삭해집니다. 또한 기름의 높은 온도는 음식의 아미노산과 환원당 사이의 화학 반응인 마이야르 반응을 일으켜 음식의 겉이 갈색으로 변하고 바삭한 맛이 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