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금리가 어디까지 올라갈것같은가요
미국하고 금리차가 1%가 차이나는데 11월에 우리나라 금리를 0.5% 올릴거라고 생각하는데 미국이 12월에 0.75%올리면 나중에는 금리를 어디까지 올릴거라고 생각하나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지난 11월 3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우리나라와 미국의 기준금리 차이는 1%로 벌어지고 말았습니다. 11월 24일 우리나라의 금통위에서 아마도0.5%의 금리인상이 거의 확실시 되어 현재는 환율이 크게 상승하고 있지 않지만 12월 14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시점이 다가오면 환율이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 같습니다. - 현재로서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이나 실업률 그리고 OPEC+원유 감산, 러시아전쟁의 장기화에 따라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쉽게 잡힐 것 같아 보이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파월의장이 이야기한대로 내년 상반기까지는 금리인상 기조가 유지되어 미국의 금리정점은 5.25%~5.75%에 도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도 미국의 기준금리 기조를 따라가 내년 중반까지 금리인상이 이루어져 4.5%~5%의 기준금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환율 방어와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서라도 금리인상은 필수적이나 최근 PF대출이나 태양광대출의 부실화가능성이나 개인들의 부실화 가능성으로 인해서 금리를 빠르게 그리고 높이 올릴수는 없을 것 같으며 미국과의 기준금리 차이를 최대한 0.5%범위내에서 맞추려고 노력할 것으로 보입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행복한 주말 되세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이는 미국의 목표 금리를 예상해보면 답이 나올 듯 합니다. - 미국은 금리를 약 5% 내외까지 올릴 계획을 짜고 있으며, 한국은행도 시간차를 두고 따라갈 듯 합니다. - 이에 따라, 현재 경제상황으로는 미국처럼 빠르게는 금리를 올리기 어렵지만 최종적으로는 한국은행도 금리역전으로 인한 부작용(환율상승, 투자수요 유지 등)을 위하여 금리를 유사한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이 향후 금리를 5%까지 상승 시킬 예정이라고 한 만큼 우리나라도 5%까지 금리를 상승시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 다만 두 나라의 차이는 속도의 차이입니다. 미국에 비해서 우리나라의 가계부채의 부실이 높기 때문에 - 함부로 금리를 인상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 내년 까지도 우리나라는 금통위 때 마다 금리를 인상하여 내년 말에는 5% 금리 근처에서 등락을 반복할 것으로 보입니다. 
 -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쟁 및 국제적 이슈등 변동성이 크고 미국연준의 금리조정론 이야기도 나오고 있고 경기침체예상등 무작정 계속 올릴수만은 없습니다.올해는 강력하게 금리인상을 단행하고 내년에는 조정등 약세로 이어가지 않을까 생각을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미국은 12월 0.5% 빅스텝으로 진행될거 같습디다. 한국도 11월에 0.5% 빅스텝을 한다면 미국은 기준금리 4.75% 한국은 기준금리 3.5%입니다. 미국은 내년 5%정도로 마무리 할것으로 보이며 2023년 하반기부터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국내 금리인상은 미국 Fed 금리 인상을 따라가고 있습니다. - 9월 Fomc 회의 결과 2023년까지 금리를 올리고, - 2024년부터 낮추는것이 다수의견으로 나왔으니, 국내도 비슷한 시기에 조정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 9월 결과 기준 23년말 적정 금리 수준이 4.38-4.62구간, 4.63-4.87구간,4.88-5.12구간이 동일하게 6표식 받았습니다 - 미국 기준 최대 5퍼대까지 올라갈 수 있으므로 현 차이 기준 국내도 4퍼대까지도 대비해야하지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