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파트 구조에서 A,B,C는 어떤기준으로 정해지나요?
아파트 구매나 청약할때 구조를 보면 A,B,C로 구분되는데요..
건설사에서 설계한 구조에 그들이 붙이는 구조 구분이니셜인가요?
아니면 표준화된 기준에 의해서 A,B,C로 구분되는건가요? D,E,F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유현심 공인중개사입니다.
여러가지 형태의 구조가 있다면 그런식으로 타입이 늘어나겠지요
그런데 타입이 그리 많지는 않습니다
항상 A타입이 제일많고 B타입C 타입은 층수를 올리는 과정에서 구조가 조금씩 다르게 나온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구조를 구분하기위해서 붙이는 영문자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강애 공인중개사입니다.
아파트는 판상형과 타워형등이 있고 구조도 2베이,3베이, 4베이에 따라 내부 구조가 달라 질 수 있습니다.
내부 구조를 구별하기 위해 건설사에서 타입별로 A,B,C등으로 구별 합니다. 서류에는 타입은 기재하지 않고 면적만 표시 됩니다.
안녕하세요. 고경훈 공인중개사/행정사입니다. 질문에 답변드리겟습니다.
아파트 구매나 청약할때 구조를 보면 A,B,C로 구분되는데요..
건설사에서 설계한 구조에 그들이 붙이는 구조 구분이니셜인가요?
아니면 표준화된 기준에 의해서 A,B,C로 구분되는건가요? D,E,F도 있나요
==> 건설사에 임의로 붙여진 구분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영관 공인중개사입니다.
법적으로 정해진것은 없고 보통 A타입은 4베이 판상형구조 , B타입은 2베이 타워형구조 그뒤들은 A와B와 유사한데 전용면적이 조금식 다른것들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