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xt 거래소는 다른 일반 정규장과 다른 시세로 운영이 되는건가요?
주식 창에 보면, 두가지 가격이 나와 있는데, krx와 nxt중간가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 건가요? 시스템과 어플 개편 후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NXT 거래소는 KRX(한국거래소)와 가격이 다를 수 있는 다른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장입니다. 두 가지 가격 차이는 KRX는 정규 거래소, NXT는 대체 거래소로, 거래 방식이나 시세 산정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NXT 거래소에서는 시세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거래소 간 차이와 특정 거래소의 유동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시장의 시세 차이는 투자자가 시장 상황을 잘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 부분입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NXT 거래소와 KRX는 동일한 주식에 대해 서로 다른 가격으로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거래소의 운영 시간, 거래 방식, 참여자 구성 등의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같은 삼성전자 주식이 KRX에서는 10,000원, NXT에서는 7,900원에 거래될 수 있는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격 차이로 인한 투자자의 불이익을 방지하기 위해 증권사들은 SOR(Smart Order Routing)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SOR은 투자자의 주문을 KRX와 NXT 중 더 유리한 시장으로 자동으로 배분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거래소를 직접 선택할 필요 없이 기존처럼 주식 거래를 하면 되며, 시스템이 자동으로 최적의 거래 조건을 찾아 주문을 실행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세가 다를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서로 두거래소간의 유동성환경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코인도 빗썸이나 업비트간의 투자자들의 회원수와 이에 따라서 유동성환경이 다르듯이 가격차이가 발생하며 중국에 상장된 알리바바도 홍콩과 미국에 상장된 알리바바간의 가격차이 다소 상이한것처럼 가격차이가 발생합니다.
이는 전혀 다른 거래소이기 때문에 수급환경이 다르므로 당연한 수순이며 두가지 형태의 주문과 나머지하나는 최우선호가로서 주문하게 되면 둘중에 유리한 가격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주문이 들어가는 방식입니다
두군데 거래소는 각각의 가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가격이라고 볼 수 있고 같은 코인의 가격이 업비트와 빗썸 가격이 약간씩 차이 나는것과 같은 이유입니다.
다만 정규장일때는 스마트주문으로 그 부분이 많이 희석되기에 실제로 큰 차이까지 있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넥스트레이드 거래소는 코스피와 코스닥과는 다른 시세로 운영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아무래도 거래장소가 다르기 때문에 아주 큰 차이는 아니더라도
세세하게 시세에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개념적으로는 두개의 다른 시장이 있고, 각각 시세도 시장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극단적인 예시로 우리동네는 초코파이가 1개 천원인데, 지리산 중턱의 산장에는 1개 2천이라고 보겠습니다. 이렇게 형성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상관없는데, 산 중턱에서는 보관하고 가져오고 더 희소하고 등등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시세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입니다. 그니까 각각 시장에서 얼마로 사겠다 말겠다 하면서 서로 거래가 합의 되면 그게 각각의 시장의 가격이 된다는 것입니다.
근데 상식적으로 우리나라 주식내에서는 그렇게 환겨잉 차이날리가 없으니 같거나 약간 다르게 갈건데, 엄연히 다른 시장이니 차이는 존재할 수 있다고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거래소마다 호가가 순간적으로 다를 수있고, 유동성 차이도 있고, 증권사들은 주문체결을 두 거래소 중 더 유리한 조건으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등 여러 사항이 어우러져서 순간 순간 가격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KRX와 NXT의 미세한 시세 차이가 있는 이유는 NXT에서는 동일가격에서 중간가호가가 지정가호가보다 우선 체결되지만, KRX에서는 중간가호가가 지정가호가 중 시간우선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