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산부인과 이미지
산부인과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3.26

생리 불순일때 산부인과에서 해주는 조치가 있나요?

나이
21
성별
여성

경구피임약 단기 복용으로 인해(2주) 중단 후 생리를 40일 넘게 안 하는 중인데 이 경우 산부인과에 가면 어떤 조치를 취해주실 수 있나요?

보통은 가면 그냥 검사 후 문제가 없을 땐 그저 기다려봐라 라고만 하시던데... 이 경우에도 그럴까요?

임신 가능성은 없습니다.(마지막 관계 이후 예정일에 생리했어요)


해주실 수 있는 조치가 있나요? 있다면 어떤 게 있죠? 또한 피임도 하고 확인도 한 후 예정일에 생리를 했는데 가능성 거의 0인게 맞을까요? 안 하니 별 생각이 다 들어요ㅜ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병제 외과 전문의blue-check
    배병제 외과 전문의24.03.27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우선 임신 가능성에 대한 확인이 있을 것이라 예상되고, 생리를 연속 2-3회 하지 않을 때까지는 기다려보는 편이므로 경과를 관찰할 것 같습니다. 그러니 임신 가능성이 전혀 없다면 2회의 생리가 연속으로 건너뛰는지 확인하고 병원을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경구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순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호르몬 균형이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초음파 검사: 자궁과 난소의 상태를 확인하여 생리 불순의 원인(다낭성난소증후군, 자궁내막증식증 등)을 감별합니다.

    2. 호르몬 검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갑상선호르몬 등의 수치를 확인하여 호르몬 불균형 여부를 판단합니다.

    3. 프로게스테론 투여: 필요한 경우 프로게스테론 약물을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생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4. 경과 관찰: 검사 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2-3개월 정도 생리 주기를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신 가능성이 매우 낮더라도 의사와 상담을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고, 필요한 검사와 처치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산부인과 방문 시, 의사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증상과 의료력을 철저히 평가한 후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호르몬 수치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여 생리 불순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려 할 것입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특정 호르몬 불균형, 난소의 문제, 또는 다른 건강상태가 생리 불순의 원인으로 밝혀질 수 있습니다.

    진단 후에는 상태에 따라 호르몬 치료(경구피임약 포함)를 조정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리 주기를 정상화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호르몬 약물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취해질 조치는 환자의 개별 상황과 의사의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