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불순일때 산부인과에서 해주는 조치가 있나요?
경구피임약 단기 복용으로 인해(2주) 중단 후 생리를 40일 넘게 안 하는 중인데 이 경우 산부인과에 가면 어떤 조치를 취해주실 수 있나요?
보통은 가면 그냥 검사 후 문제가 없을 땐 그저 기다려봐라 라고만 하시던데... 이 경우에도 그럴까요?
임신 가능성은 없습니다.(마지막 관계 이후 예정일에 생리했어요)
해주실 수 있는 조치가 있나요? 있다면 어떤 게 있죠? 또한 피임도 하고 확인도 한 후 예정일에 생리를 했는데 가능성 거의 0인게 맞을까요? 안 하니 별 생각이 다 들어요ㅜ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우선 임신 가능성에 대한 확인이 있을 것이라 예상되고, 생리를 연속 2-3회 하지 않을 때까지는 기다려보는 편이므로 경과를 관찰할 것 같습니다. 그러니 임신 가능성이 전혀 없다면 2회의 생리가 연속으로 건너뛰는지 확인하고 병원을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저의 답변이 부족하겠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경구피임약 중단 후 생리 불순이 나타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호르몬 균형이 회복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산부인과에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자궁과 난소의 상태를 확인하여 생리 불순의 원인(다낭성난소증후군, 자궁내막증식증 등)을 감별합니다.
호르몬 검사: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갑상선호르몬 등의 수치를 확인하여 호르몬 불균형 여부를 판단합니다.
프로게스테론 투여: 필요한 경우 프로게스테론 약물을 투여하여 인위적으로 생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경과 관찰: 검사 결과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2-3개월 정도 생리 주기를 관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임신 가능성이 매우 낮더라도 의사와 상담을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고, 필요한 검사와 처치를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산부인과 방문 시, 의사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증상과 의료력을 철저히 평가한 후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호르몬 수치 검사, 초음파 검사 등을 시행하여 생리 불순의 원인을 정확히 진단하려 할 것입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특정 호르몬 불균형, 난소의 문제, 또는 다른 건강상태가 생리 불순의 원인으로 밝혀질 수 있습니다.
진단 후에는 상태에 따라 호르몬 치료(경구피임약 포함)를 조정하거나 다른 치료 방법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리 주기를 정상화하기 위해 다른 종류의 호르몬 약물을 처방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취해질 조치는 환자의 개별 상황과 의사의 진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