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오군란의 원인이 된 신식, 구식 군인의 차별은 얼마나 심했나요?
조선의 개화기 당시에 임오군란이라는 사건이 굉장히 유명한데 제가 배울 때는 차별이 원인이었고 그 예로 봉급으로 받는 쌀이 기억에 남습니다. 그렇다면 이 외에도 신식군인과 구식군인의 차별은 얼마나 심했던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임오군란의 배경은 다음과 같습니다.
군란의 배경을 단지 민씨척족정권에 대한 대원군을 중심으로 한 수구파의 정쟁으로만 볼 수는 없습니다.
고종을 비롯한 민씨척족정권이 개화정책을 추진해 일본과 구미제국과의 교섭통상관계가 이루어지면서 개화파와 수구파의 반목이 점차 심해지고 있었습니다. 이런 가운데 개화파주1 관료가 제도 개혁에 따라 대거 등장하자 수구파주2의 반발이 격화되었습니다.
특히, 5영을 폐지한 후 무위 · 장어의 2영을 설치하고 별기군)을 창설하는 등 군제 개혁이 단행되자 구 5영소속 군병들의 불만이 고조되었습니다.
1881년 전개된 수구파의 위정척사론주3과 이재선· 안기영 등의 토왜반정음모사건을 계기로, 민씨척족정권은 대원군파와 특히 남인계열의 수구파에 대대적인 탄압을 가함으로써 지배층의 분열은 극도에 달해 있었습니다.
이 밖에도 민씨척족정권의 인사행정의 문란, 매관매직, 관료층의 부패 및 국고의 낭비, 일본의 경제 침략으로 인한 불만 등을 군란의 배경으로 들 수 있었습니다.
임오군란이 일어나기 전에도 수 차에 걸친 군병들의 반항이 있었다. 1863년(철종 14)의 금위영 소속 군병의 소요, 1877년 8월의 훈국병 소요 등은 모두 군료 때문에 일어난 사건이었다. 임오군란이 일어난 직접적인 원인도 군료 문제에 있었습니다.
군제 개혁 후 구 5영 소속 군병의 대부분은 실직하였다. 또 무위영과 장어영으로 개편된 군병이라 할지라도 신설된 별기군에 비해 열악한 대우에 처해 있었다.
더욱이 이들 구 5영소속의 군병들은 13개월이나 군료를 받지 못하고 있어 불만이 절정에 달해 있었다. 특히, 그들은 군료 관리인 선혜청당상 민겸호와 전 당상이었던 경기관찰사 김보현에게 깊은 원한을 품고 있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오군란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