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갑자기 기저귀를 다시 하겠다고 하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유치원생 아이가 진즉 기저귀 다 떼고 대소변도 스스로 가릴 줄 알고 화장실도 이용할 줄 아는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갑자기 다시 기저귀를 찾는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이가 갑자기 기저귀를 착용하겠다고 하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동생이 태어났거나 이사나 전학 등 환경 변화로 인해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기저귀를 찾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이가 느끼는 불안감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변 훈련 중 실수를 하거나 불편함을 느껴서 기저귀를 찾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아이가 편안하게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상태가 좋지 않거나 변비 등의 증상이 있어서 기저귀를 찾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아이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놀이처럼 생각하거나 습관적으로 기저귀를 착용하려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 때는 아이가 왜 기저귀를 찾는지 이유를 물어보고, 올바른 행동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부모님께서는 아이가 왜 기저귀를 찾는지 이유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대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기저귀를 착용하는 대신 변기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주고, 지속적으로 연습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가 자연스럽게 기저귀를 졸업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갑자기 기저귀를 하겠다 라고 하는 것은 부모님의 관심과 사랑, 애정을 받고자 하는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아이는 사랑을 받지 못하고 부모님이 관심이 소홀하다 라는 것을 느끼면 어떻게든, 부모님의 관심을 받고 싶어서 돌발행동을 하기도 하고,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행동을 하기도 합니다.
제일 먼저 아이에게 해주셔야 할 점은 아이의 감정을 들여다보고 아이의 감정을 돌봐주는 것이구요.
아이에게 엄마.아빠는 항상 너를 사랑하고 관심을 주고 있어 라는 것을 아이가 피부로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언어와 행동으로 자주 표현을 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더나아가 기저귀는 동생들이 차는 것이고 형아가 되었다면 더는 기저귀를 차면 안된다 라는 것을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설명을 해주면 좋을 것 같네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배변 활동 중 불편함을 겪었거나 실수를 했던 적이 있는지 원인을 파악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관련 배변 영상이나 책을 읽혀주셔서 아이가 아이 눈높이에서 공감하도록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소변을 참다가 조금 팬티에 실수 하는 경우가 있으면 아이가 불안한 마음에 기저귀를 하겠다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유치원생 이면 부모님과 소통이 가능한 나이이기 때문에 조금의 소변 실수는 할 수 있고 소변이 마렵다 생각
되면 하는 일을 멈추고 화장실에 가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고 아이가 하던 일을 멈추고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해결 했다면 아이에게 칭찬을 해주어 잘 했다고 이야기 해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기저귀를 떼고 형아 누나처럼 행동을 하다가도 다시 아이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아무래도 둘째가 생기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둘째가 생기면 아이들의 경우에는 질투심이 생긴다고 합니다. 이러한 질투심이 생기면 아이들은 둘째가 하는 모든것을 따라고 하고 싶어 할겁니다. 따라서 아이가 기저귀를 차려고 할 것인데 처음에는 조금 시켜주다가 아이에게 설명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해주면 이해를 하고 기저귀를 다시 벗고 둘째를 잘 봐줄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기저귀를 다시 사용하려는 이유가 특정 상황에서의 불편함일수 있으니 그 상황을 해결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일시저인 상황이라면 기저귀 사용을 재도입하되 그 사용을 명확히 한 뒤에 점진적으로 다시 훈련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기저귀 다시 사용 요청은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그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해하는 경우일 수 있으며 따뜻하게 대화하면서 이유를 들어보세요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심리 변화에 주목해 주세요
이는 일종의 퇴행 행동으로 심리적, 감정적, 환경적으로 변화가 생겨서 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이러한 불안함 심리 상태를 느꼈을 경우 안정감을 찾기 위해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해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다른 안정감(놀이, 인형등)을 제공해 줌으로써 아이를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다시 기저귀를 차려고 할 때는 먼저 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스트레스를 받거나 불안한 상황에 처했을 때 퇴행하는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새로운 환경이나 동생이 태어나는 등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니, 아이의 생활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생각해보세요. 이럴 때는 아이에게 충분한 사랑과 안정감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저귀를 차려고 한다고 해서 크게 나무라기보다는, 차근차근 다시 화장실을 사용하는 습관을 되찾도록 도와주세요. 아이가 화장실을 성공적으로 사용했을 때는 칭찬을 아끼지 말고,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다시 기저귀를 차고 싶어하는 이유를 대화로 풀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고, 그에 맞는 대응을 하면 아이는 점차 다시 자신감을 갖고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