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지방 물류를 활용한 무역 확대 시 고려해야 할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극지방 물류를 활용하여 새로운 무역 경로를 개척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극한 환경으로 인해 물류비 증가, 기상변화, 보험문제 등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극지방 무역을 활용할 때 예상되는 주요 리스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극지방 물류가 확대된다면 새로운 운송경로로서 더 경쟁력있는 운송이 가능해질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다만, 기후변화나 환경규제 등에 관한 문제들이 해결되어야 하고, 관련 인프라 등도 기존의 운송경로에 비해 부족해 아직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면 오히려 운송비나 보험료의 상승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철저한 사전계획과 실제 운송경로로 활용될 수 있을지 여부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극지방 물류를 활용한 무역 확대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로는 운항상의 위험과 비용 증가가 있습니다. 북극해의 불안정한 기상환경과 예측하기 어려운 빙하 상태로 인해 운항이 위험하며, 이는 높은 보험비용으로 이어집니다. 또한 쇄빙선, 아이스 파일럿, 통항세 등의 부대비용과 극지 운항을 위한 특수 선박 및 선원 훈련 비용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법률적, 정책적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북극해 연안국가의 불확실한 통항정책과 통행료, 점유수역사용료 등의 문제가 있으며, 국제 정세 변화에 따른 제재로 인해 계획된 사업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 또한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HFO 사용 금지 등의 제한사항을 준수해야 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리스크로 인해 북극항로를 통한 비용 절감 효과가 상쇄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극지방 무역은 기존 항로보다 운송 거리를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극한 환경으로 인해 다양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낮은 기온과 두꺼운 얼음층으로 인해 선박 운항이 어려워지고, 돌발적인 기상 변화로 인해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이 큽니다. 또한, 인프라가 부족하여 긴급 상황 발생 시 대응이 어렵고, 항로 개척과 유지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며, 해상보험 비용도 높아질 수 있습니다. 환경 보호 규제도 강화되고 있어 이를 준수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과 절차가 필요하며, 극지방을 둘러싼 국제적 이해관계로 인해 정치적 불확실성도 존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