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

미국 금리인하 안하는것인가요 못하는것인가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연일 금리인하를 해야한다고 하고

상원의원들도 금리인하를 하지 않는 연준의장에 대해 사임하라고 강력하게 비판하던데요.

이쯤되면 연준의장은 금리인하를 일부러 안하는것인가요? 아니면 진짜 할 수있는 여건이 안되는것일까요?

항상 늦은 대처로 실무처리를 못한다는 비판도 많이 받고 있는 연준의장이던데요.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의 압박에도 파월이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것은 안하는 것과 못하는 것 모두 해당된다고 생각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목표치보다 높아 무리하게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다시 오를 수 있어 신중하게 안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동시에, 경제 둔화와 금융시장 불안 등 금리 인하의 필요성도 있지만, 물가 안정이 우선이기 때문에 못하는 상황이기도 합니다. 연준은 경제와 물가의 균형을 보며 신중하게 결정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기준금리 통화정책은 연준위원들의 투표로 결저오디는데, 아무래도 미국 경제 지표를 고려했을때 당장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인플레이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보고 있기 때문에 동결로 유지하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는 4.5%입니다. 한국이 금일 금리를 동결하면서 2.5%인데 2%나 차이가 납니다.

    익히 아시는 바 대로 트럼프 대통령은 파월 미연준 의장에게 금리를 내리라고 압박을 가하고 있고 자리에서 끌어 내리려고 시도하고 있습니다.

    미연준이 금리를 내리지 못하는 이유는 매우 명확합니다. 물가 때문입니다. 더군다나 비현실적인 상호관세를 주요 교역국들한테 부과하면서 기대 물가 수준을 계속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미연준에서 기준 금리를 내려 시중에 유동성이 늘어나면 물가는 더욱 상승하게 되고 경기 침체까지 우려가 되는 이른바 스테그플레이션까지 염려할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연준의장이 기준금리를 인하를 할 시점은 아니라고 판단하고 안하는것입니다 연준은 독립적인 기관이며 외부의 압력으로 결정하는곳이 아닙니다.

    다만 최근 10년동안 언론의 주목도가 워낙 높아지면서 대외변수나 대외언론에 연준이 상당수를 신경쓰는것은 사실입니다 현재 연준의 금리를 결정하는 12명의 이사진들의 점도표를 보게 되면 완전히 위아래오 크게 격차가 심합니다 이말 자체가 서로간의 시각차이가 매우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는것입니다.

    현재 연준의장은 지금 시점에선 미국정부의 각국의 관세에 대한 명확한 로드맵이나 스탠스가 없고 이번에도 유예를 하면서 이로 인한 하반기 경제 전망이 매우 불투명하기 때문에 함부로 금리를 인하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소비자물가에 대한 예측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지금은 인하보다는 동결이 맞다고 스스로 판단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경제연건상 금리를 인하하는게 맞다고 생각하지만 인플레이션을 고려하면 동결하는게 맞다고 다들 보고 있습니다.

    이 두가지의 갈릴길에 있다고 보시면 될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은 금리를 인하하지 못하는 것인가 안하는 것인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기준 금리는 내리고 싶다고 내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럴 경제적 여건이 되어야지 내리기에

    지금은 그런 경제적 상황이 못되는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은 현재 금리 인하를 못하고 있는 쪽으로 보시는게 맞습니다.

    정부로 부터 FOMC는 금리 인하 압박을 받고 있으나 발표되는 경제 지표나 현재 관세 등의 문제로 인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인하를 함부로 할 수 있는 입장이 못됩니다.

    현재 상황과 언제 적용할지 시기만 검토하고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