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곰돌이푸와친구들
곰돌이푸와친구들

코카콜라를 30년동안 장기보유할 생각인데요.

코카콜라를 30년동안 장기보유할 생각인데요. 배당금도 많이 주는 것 같고 의외로 좋더라고요.

우리나라 회사도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뀔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회사도 현재 배당정책이 바뀌고 있는 시점에 있습니다

    정부가 바뀌고 그동안 거버넌스 문제와 배당확대에 대한 요구가 지속 생기면서 배당성향이 20-25프로수준에서 향후 40프로까지 확대될것으로 보이며 거기다가 연간배당이아니라 대기업중심으로 분기배당으로 확대가 되는 즉 미국과 비슷한 환경으로 가고 있는게 포인트로 볼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이번 정부에서 주식시장 개편을 위해 하고자하는 것중에 하나가 주주를 위한 회사. 그중에 배당금을 늘리는 내용도 있습니다.

    물론 정부에서 하라고 한다고 모든 회사가 그럴것은 아니지만 우리나라도 점점 배당에 인색하지 않을 정도로 바뀌어가고 있기는 한것 같습니다.

    다만 미국처럼 되려면 한~참 멀었고 배당주 투자는 굳이 국내주식이 아니라 미국 주식으로 하는게 개인적으로는 좋다고 생각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들이 배당을 주는 것은 기업 주주총회에서 결정되는 사안으로 매년 배당을 늘리는 귀족주 코카콜라처럼 우리나라 주식 중 아주 일부도 배당을 늘리는 종목이 있긴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배당금을 지금할 수 있게 하도록 상법을 개정하고 주주친화적인 증권시장을 만들기 위해서

      현정부가 노력할 전망입니다.

    • 그럼에도 우리나라에 비해 미국주식의 배당성향이나 주주친화적인 지표는 더 좋아질 것으로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에도 코카콜라와 유사하게 꾸준히 배당금을 지급하는 회사도 있고,

    매년 배당금을 증가시키는 이른바 배당 황제주들도 존재하기는 합니다.

    물론 미국에 비해 아직 그러한 인식이 약하기는 하지만 점차 개선되지 않을까 예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점진적으로 배당을 포함한 주주 환원 정책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실제로 그러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글로벌 경쟁사에서 비해 낮은 주가순자산비율 등으로 저평가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낮은 배당 성향과 불투명한 지배구조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습니다. 정부와 금융 당국은 이러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주식 시장의 매력을 높이기 위해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그램의 핵심 목표 중 하나가 기업들의 주주 환원 확대입니다. 상법 개정 등 법적, 제도적 압박인 이사회의 '회사와 주주'에 대한 충실 의무 명문화는 기업이 단순히 회사의 이익만을 위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주주의 이익을 고려하도록 강제하는 법적 기반을 마련합니다. 이는 배당 정책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