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가격과 시가총액의 상관관계를 알고싶습니다.
주식에서 가격과 시가총액의 상관관계를 알고싶습니다. 가격이 높아도 시총이 낮은경우가있고 가격이 낮은데 시총이 높은 경우가있습니다. 이경우 시총이라하면 판매된 주식의 총합인가요? 그럼 액면가가 낮은주식이 액면가는 낮지만 주식총수가 많다는 뜻일까요?
주식의 시가총액은 주식의 시장가격을 발행된 주식의 총 수량으로 곱한 값으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따라서 시가총액은 주식의 시장가격과 발행된 주식의 총 수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액면가는 기업이 주식을 발행할 때 정한 가격으로, 주식의 가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액면가가 낮다고 해서 주식의 시가총액이 낮은 것은 아닙니다. 주식의 시가총액은 시장에서 결정되는 주식의 가격과 발행된 주식의 총 수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안녕하세요
최초에 주식이 시장에 상장될 때 주당 자본금을 5천원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고 1만원으로 설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 이후로는 액면분할을 진행하여 주당 100원이 기준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주당 가격을 분할하기 때문에 여러기업들이 발행한 주식의 총 수가 동일하진 않습니다.
액면가가 낮은데 시가총액이 높다면 그만큼 발행된 주식의 수가 많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시가총액이라는 것이 발행된 주식수 x 현재 주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업마다 현재 주가가 다를 수 있는만큼 주가가 높다고 하여 무조건 시가총액이 높은 것은 아닙니다.
판매된 주식의 총합이라기 보다는 발행된 주식이 총합이라고 하는 것이 더 정답에 가깝겠습니다.
또한 액면가와 시가총액은 직접적인 관계가 없습니다.
시가총액에서 시가라는게 말 그대로 그날의 가격을 말하는 것 이기에, 액면가가 100원이든 5000원이든 시가총액과 관계가 없고.
액면가가 높아도 시가가 낮으면 시가총액이 낮고, 액면가가 낮아도 시가가 높으면 시가총액이 높습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시가총액(時價總額)은 전(全) 상장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총액입니다. 상장종목 별로 당일 종가에 상장주식 수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단순히 거래 액면가만 볼 수 없는 것이 액면 분할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에서의 가격과 시가총액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식의 가격은 한 주당 가격을 나타내며, 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주식의 가격을 합산한 금액을 의미합니다. 주식의 가격과 시가총액은 일반적으로는 가격이 높을수록 시가총액도 높아지고, 가격이 낮을수록 시가총액도 낮아집니다. 그러나 특정 상황에서는 주식의 가격이 높으면서도 시가총액이 낮거나, 반대로 주식의 가격이 낮으면서도 시가총액이 높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세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질문해주신 주식에서의 가격과 시가총액에 대한 관계입니다.
시가 총액이란 현재 발행된 주식에 현재 주가를 곱한 것입니다.
그렇기에 주가가 높은데 시총이 낮은 것은 발행 주식량이 적다는 것이며
반대로 주가가 낮은데 시총이 높다는 것은 발행 주식량이 많다는 것입니다.
시가총액은 회사의 전체 가치를 나타내며 주식 가격에 주식 수를 곱한 값입니다. 가격이 낮아도 주식 수가 많으면 시가총액이 높을 수 있고 가격이 높아도 주식 수가 적으면 시가총액이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식의 시가총액은 주식 가격과 주식 수의 조합에 따라 달라집니다.
안녕하세요.
시가 총액이 주식회사의 가치입니다.
주가가 100원이라도 주식발행량이 1만개면, 시총이 100만원이고
주가가 1000원이라도 주식발행량이 5백개면 시총이 50만원입니다.
시총은 주가 x 주식발행량입니다.
감사합니다.
예 말씀하신 부분이 대부분 맞습니다. 시가총액은 발행된 총 주식 숫자가 주식 가격의 곱한 값입니다 그래서 주식 가격이 높으면 발행된 총 주식 수가 적은 것이고 주식 가격이 낮으면 발행된 총 주식 수가 많은 것입니다
물론 이 말은 시가총액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리는 것입니다
최근 엔비디아처럼 주식 가격이 너무 높으면 주식 가격을 10분의 1로 낮추고 대신 주식 개수는 열 배로 늘리는 액면 분할을 하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