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매너있는 여새115
매너있는 여새11523.07.17

일본의 저금리가 계속되는데 미국채를 많이 갖고있어서 금리를 올리기 어려운건가요?

일본은 계속 저금리를 유지하는 상태인데 이유가 미국 국채를 많이 갖고있어서 금리를 올리기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맞는말인가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과 같은 경우

    장기적인 디플레이션으로 고생을 하였고

    이에 따라서 저금리 유지가 가능하며

    경기부양을 위하여 계속하여 자국 통화 약세를

    유도하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경우 경제활성화를 위해 저금리를 유지하고 있고, 또한, 국가채무 규모가 커 금리를 올릴경우 해당 이자지급에 대규모의 예산투입이 발생할 수 있어 쉽게 금리를 올릴수없는 구조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연실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이 저금리 정책을 계속 유지하는 이유 중 하나는 일본의 경제 상황과 정책 목표에 기인합니다.

    저금리를 통해서 대출 및 투자를 많이 받고 경제 활동을 활발히 할 수 있으며, 대출 이자 부담이 감소하여 가계 및 기업의 소비와 투자를 촉진합니다.

    일본이 미국채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사실은 맞지만, 미국채를 통해 달러화를 확보하고 외환 시장 안정성을 유지하할수 있지만, 저금리 정책과 미국채 보유는 서로 다른 정책 영역이며, 단일한 인과관계로 설명하기는 조금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정부부채가 많기 때문인 것은 맞습니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상대적으로 낮고 엔화 약세를 유지하면 여행 관광 및 수출에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본은 의도적으로 인플레를 발생시키기 위해 아베 전 총리시절 부터

    아베노믹스를 진행해왔습니다.

    현재에도 이런 흐름을 이어 받아 저금리로 자신들이 원하는 인플레가 발생하기 전 까지는

    계속 저금리 정책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잃어버린 30년을 회복하기 위함이며 그 기간동안 물가와 임금이 정체되어 큰 문제가 되었기에

    인플레를 의도적으로 발생시키려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