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비비빙
비비빙23.06.18

밀물과썰물이 일어나는 현상이 궁금합니다

밀물과 썰물이 일어나는현상이 달때문이라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어떠한현상과 과학적원리로 인해 그런것인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지구의 자전과 달의 인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지구가 자전하면서 달과 가까워지기도 멀어지기도 하는데, 달과 가까워질 경우 인력이 크게 작용하여 밀물이 되고 반대의 경우 썰물이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수 중에 있는 조력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달과 해양 조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일어납니다. 그러나 이 현상은 달뿐만 아니라 태양의 영향도 받습니다.

    밀물과 썰물의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됩니다:

    1. 중력 작용: 달과 태양은 지구에 중력을 행사합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의 수평면에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고, 태양의 중력은 달의 중력과 유사한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2. 중심력 작용: 지구는 자전하면서 자전력을 발생시킵니다. 이 자전력은 지구 중심을 중심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작용합니다.

    3. 조력 작용: 중력과 중심력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조력이 발생합니다. 조력은 중력과 중심력의 합력이며, 이는 지구 표면에서 물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작용합니다.

    4. 조력의 영향: 조력은 지구 표면의 물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이 조력이 물에 작용하면, 물은 그 영향을 받아 일정한 주기로 파도가 형성됩니다. 이 주기적인 파도의 높낮이가 밀물과 썰물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달과 태양의 위치에 따라 조력의 크기와 방향이 달라지며, 이로 인해 밀물과 썰물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달과 태양이 지구의 한쪽 면을 향해 일직선으로 위치하면 중력과 중심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여 조력이 강해집니다. 이때는 밀물이 일어나고, 반대편에는 썰물이 일어납니다.

    달과 태양의 상대적인 위치, 지구의 자전 등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밀물과 썰물의 크기와 주기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조력의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해양 조류 및 해안 생태계 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해양 조류 현상 중 하나로, 해수가 조금씩 상승하고 내려가는 현상을 가리킵니다. 이는 해양 조력과 중력이 상호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입니다.

    지구의 조력은 달과 태양의 위치와 중력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달의 중력은 지구와 가까워지면서 바닷물을 끌어당기는 힘을 발생시킵니다. 동시에 지구도 달에 대해 반대편에서 바닷물을 끌어당길 힘을 발생시킵니다. 이러한 중력에 의한 힘들이 결합하여 바닷물의 상승과 하강을 유발합니다.

    해양 조류는 매일 두 번 일어나는데, 한 번은 달과 태양이 일직선에 있을 때 발생하는 스프링 조류라고 부릅니다. 이때는 바다가 가장 높게 물이 올라가고, 가장 낮게 물이 내려갑니다. 다른 한 번은 달과 태양이 직각으로 위치한 때에 발생하는 달 조류입니다. 이때는 바다가 상대적으로 낮게 물이 올라가고 내려갑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는 자전축 기준으로 하루에 한 바퀴씩 도는 자전을 하면서 동시에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을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달은 이러한 지구 주위의 궤도를 따라 공전하면서 만유인력과 원심력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원심력은 원운동 하는 물체가 바깥쪽으로 튕겨져 나가려는 힘인데 지구는 자전에 의해 원심력이 발생합니다.


    지구에서 바깥쪽으로 쏠리는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지만, 달 쪽을 향한 인력은 달의 중심을 향하므로 방향이 있게 됩니다. 그래서 지구에서는 달을 마주보는 편에서의 인력과 반대편에서의 인력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인력에 이끌려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으로 지구의 바닷물이 모입니다. 그리고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의 반대쪽 부분도 원심력에 의하여 바닷물이 부풀어 오릅니다. 그 결과, 달이 당기는 부분과 그 반대편이 밀물이 되고 그 외의 부분은 물이 빠져나가 수심이 얕아지는 썰물이 됩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 자전하기 때문에 달의 인력과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하루에 두 번의 밀물이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달과 지구의 인력에 의해 생기는데요

    지구가 자전하면서 달과 가까운 부분은 물이 차오르고 멀어지면 물이 빠져나가 밀물과 썰물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결국 중력입니다.

    밀물과 썰물은 조석력에 의해 발생하는 바다 수면의 상승과 하강 현상입니다. 달과 태양의 중력이 작용하여 바다 수면이 주기적으로 올라가고 내려갑니다. 밀물은 수면이 가장 높게 올라가는 상태를 말하며, 썰물은 수면이 가장 낮게 내려가는 상태입니다. 일반적으로 매일 두 번 발생하며, 약 6시간 간격으로 변화합니다. 이는 조석력의 작용과 관련된 자연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와 달이 태양 주위를 같이 돌고 달은 약 1km/s의 속도로 한 달에 한 번씩 지구의 주위를 돌면서 지구의 바닷물을 하루에 두 번씩 올렸다 내렸다 한다.

    그래서 지구의 바닷물은 항상 움직이는데 이것을 조석(潮汐)이라고 한다. 물이 들어올 때, 즉 외해에서 내해로 들어오면 만수위가 되고 그 물이 다시 외해로 빠져나가면 저수위가 되어 갯벌이 보인다.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주인공이 달이며 구체적으로는 지구 · 태양 · 달 사이의 인력 작용 때문이다.

    이렇게 바닷물을 올리고 내리는 힘을 기조력(起潮力)이라 하는데 달과 태양 및 기타 천체에 의해 일어난다.

    지구와 가장 가까이 있는 달의 영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태양이 영향을 미친다. 태양은 덩치는 크지만 지구에서 너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그 영향력이 달의 기조력에는 못 미친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달의 인력과 지구의 자전 때문입니다.

    지구에서 바깥으로 쏠리는 원심력은 모든 방향에서 같지만 달 쪽을 향한 인력은 지구에서 달을 마주보는 편에서의 인력과 반대편에서의 인력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 인력에 이끌려 지구와 달이 마주 보는 부분은 바닷물이 모이게 되고 지구와 달이 바주보는 부분의 반대쪽도 원심력에 의해서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이 때문에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것이죠.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밀물과 썰물이 생기는 이유는 달의 인력에 있습니다 달이 가까워 지면 달의 인력에 의해 바닷물이 부풀어 오르는데 이때 밀물이 생기며 반대쪽 또한 지구의 원심력에 의해 밀물이 생깁니다 이때 달과 수직에 있는곳은 바닷물이 빠져 썰물이 생기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