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자동차 이미지
자동차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2.12

자동차 히터가 늦게 작동이 되는건 정상인가요?

디젤차량을 운행중인데요. 겨울에 추운날 특히 예열을 할 시간이 많지않아서 그냥 출발을 하는데 한참지나서 대략 10분정도를 달리고 나야 조금씩 히터가 나오는데요. 디젤차량이 원래 이렇게 겨울철에 히터가 늦게 가동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기운찬재칼262
    기운찬재칼26224.02.12

    안녕하세요. 기운찬재칼262입니다. 차량의 냉각수 온도가 올라가야 히터가 제대로 작동합니다. 가능하시면 냉각수 온도가 중간정도로 올라가기 전까지는 히터를 틀지 않는 것이 좋슺니다. 왜냐하면 달리는 중에 신호를 받아서 정지하면 엔진의 열보다 발열량이 많다보니 냉각수의 온도가 더 늦게 올라가거든요


  • 안녕하세요. 독특한랍스타214입니다.


    자동차 히터는 엔진열을 실내로 쏴줘서 난방을 하는 개념이라서 예열하지 않고 가면 따뜻한 바람이 늦게 나오는건 정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단정한늑대28입니다.

    자동차 히터를 가동하더라도 자동차의 제 1조건은 엔진과 미션의 예열입니다. 예를들어서 자동차는 엔진과 미션이 잘 작동하기위해서는 일정 온도가 되어야하는데 그온도까지 올라가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엔진온진과 미션이외에 냉각수통로와 냉각라인을 닫아놓고 온도를 올립니다. 그렇게되면 히터라인의 냉각수의 온도는 더 나중에 올릴수 밖에 없습니다. 자동차 냉각라인의 첫번째 로직은 엔진과 미션의 온도를 웜업할정도의 온도까지 올리는게 우선이기때문에 히터가 나오는 시간까지 오래걸릴 수 밖에 없습니다. 혹은 냉각수를 열었다 닫았다하는 써모스탯이 열려있는 상태에서 지속적인 냉각때문에 안나올수도 있습니다. 10분이상으로 너무 안나온다면 이부분도 점검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