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가치가 왜 이렇게 떨어지는걸까요?..
최근에 달러당 160엔까지 내려갔다고 하던데 나름 기축 통화인 엔화가 왜 이렇게 평가절하당하는건지 다소 이해가 안됩니다. 혹시 의견 주실분 계실까요?
엔화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일본의 경우 인플레이션율이 다시금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금리인상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지만 반대로 다른 국가들의 경우 인플레이션이 상승하게 되면서 기준금리 인하의 가능성이 낮아지고 다시금 인상 리스크가 발생하게 되자 일본과의 기준금리 격차가 심화될 것이라는 예상이 상승하게 되어 엔화의 가치 하락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요
안녕하세요
엔화 가치가 떨어지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경제 성장률, 인플레이션, 금리, 정치적 안정성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에는 일본의 경제 성장률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 압력이 증가하면서 엔화 가치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또한, 일본의 금리가 미국의 금리보다 낮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이 엔화를 팔고 다른 통화를 구매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당분간 기준금리를 내릴 수 없을 것이라는 게 확실시된다. 자금은 금리가 ‘높을’ 나라로 향한다. 달러에 대한 수요(와 그 가치)가 높아졌는데 이는 ‘다른 통화들의 달러 대비 가치가 하락한다’는 뜻이다.
이스라엘과 이란의 분쟁으로 유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이 발생했다. 이스라엘은 4월1일, 시리아 주재 이란 영사관을 공습했다. 이에 맞서 이란은 4월13~14일 이스라엘 본토를 드론과 미사일 300여 기로 공격했다. 이스라엘이 대다수의 발사체를 요격해서 피해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은 가만히 있을 나라가 아니다. 미국의 자제 요청에도 불구하고 이란에 보복하겠다고 선언했다. 반격 시점과 방법만 남은 것으로 보인다. 양국 간 전면전은 주변 국가들은 물론 미국과 러시아까지 끌어들이는 제5차 중동전쟁으로 번질 수 있다. 이란은 세계 원유 교역량의 30%가 지나는 호르무즈 해협을 봉쇄해 세계경제를 타격할지도 모른다.
이렇게 세계정세가 불안하거나 그럴 조짐이 보이면 글로벌 자금은 미국 달러화로 몰리는 경향이 있다. 불투명한 상황으로부터 ‘나’의 자산을 그나마 가장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은 패권국가 미국 달러 기반의 금융상품을 사는 것이다. 이로 인해 달러 가치가 치솟았기 때문이다. 일본은행이 물가 상승 우려로 비교적 완화적인 입장을 유지 중인 점 등을 꼽고 있다. 일본은행이 지난 26일 기준금리를 동결해 추가적인 인상을 하지 않은 점도 엔화 약세를 부추겼다는 분석이다.
일본과 미국간의 기준금리 차이가 상당히 벌어졌고 이와 더불어서
미국의 조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사라졌기에 이에 엔화가 상당한 약세를 보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일본은 아직도 제로금리 정책을 펼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글로벌 금리는 고금리로 전환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엔화를 팔고 외국 화폐에 대한 수요가 더욱 상승하게 되어 엔화 자금으로 미국국채를 투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엔화가치는 더욱 가파르게 하락하는 추세에 놓였습니다.
이 상황이 끝나려면 미국의 금리를 내리거나 일본이 금리를 더 올려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일본 정부에서 물가안정과 내수시장안정, 인플레이션을 대응하기 위해 엔화가치의 상승을 높이지 않는 정책을 펼치고 있어 엔화가치가 상승하지 않고 있습니다.
일본정부(중앙은행)에서 경기회복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사용했고, 지금도 저금리를 고수하며 그 여파가 지금 닥쳐오는 것입니다.
마이너스금리란 말 그대로 이자가 마이너스(-)로,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이자 대신 수수료를 뜯어가고 반대로 은행에서 대출을 하면 이자를 받아가는 것이 아닌 오히려 대출자에게 이자를 주거나 헐값의 이자만을 물립니다.
따라서 사람들은 예금을 꺼리게 되고, 대출자만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면 시중에 돈이 엄청나게 늘어나게 될것입니다. 즉, 엔화가 흔해지고, 흔해진만큼 헐값이 된 것이지요.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일부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엔화가치가 계속해서 하락하는 현상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일본에서 마이너스 금리에서 벗어나도록 금리 인상을 단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엔저 현상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여전히 미국과 일본 간의 금리 차이가 크기 때문이고
동시에 일본의 양적 완화 정책이 멈추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엔화가 이렇게 가치가 하락한것은 장단기적으로 분석할수있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본이 잃어버린 30년을 지나면서, 저성장, 저물가, 저금리 시대가 지속되면서 미국 등 타국가 대비 저금리에 자본이 해외로 유출되면서 엔화의 가치도 하락했습니다.
단기적으로 보면 최근 1~2년사이 많은 국가들이 인플레이션에 시달리면서 급격히 금리를 올렸습니다. 미국도 금리를 5%대까지 올렸는데 일본이 거의 0%정도 수준을 유지하면서 금리격차가 커지면서 더 많은 자본유춝과 엔화 가치하락, 엔달러 환율 급등 등의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