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제사를 절에 모신다는 뜻이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가정에서 전통문화인 제사의례가 붕괴되면서 또는 불교신자들이 요즘 제사를 절에 모신다고 하던데 집에서 제사를 안지내고 절에 모신다는 뜻이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말하는 제사의 정의를 살펴보면, “천지신명을 비롯한 신령이나 죽은 이의 넋에게 제물(음식)을 바치어 정성을 표하는 행위” 라고 나와있는데 . 좁게는 천지신명에게 올리는 정성이며, 넓게는 샤머니즘 및 조상숭배, 애니미즘 등과 관련하여 제물을 바치는 의식 전반을 지칭합니다. 다만 고려말 이후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유교가 도입되어 가족이 모이고 조상들을 기억하는 의례로 바뀌게 되었을 뿐이지요. 장소만 바뀌었을 뿐 집에서 지내나 절에서 지내나 큰 차이는 없을 것 입니다. 실제로 절에서도 기제사로 해서 약간의 돈을 받고 사람들의 제사를 지내 주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를 집에서 모시지 않는 이유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겠습니다.

    첫째. 집안 형편 때문에

    둘째. 제사를 치르는데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서 등의 이유가 있겠습니다.

    절에 제사를 모시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두번 째 이유가 아닐까 싶어요 제사를 치는데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해서 절에제사를 모시는 가장 큰 원인이 아닐까 라는 저의 생각을 적어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상을 공경하는 마음을 자식들에게 알려주고 싶고, 가족 간 유대감을 이어오고 싶은 이들을 위해 사찰에서는 위패를 봉안하고 영가를 위해 기도해준다. 매년 기일에 맞춰 제사를 지내는 것은 물론 지장재일과 천도재, 백중기도 때마다 독경과 축원을 해주기 때문이다.

    -출처:불교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