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리수면중인데 새벽에 깨면 무조건 안방으로 기어오는데 방법이있을까요?
현재 11개월이고 6개월전부터 분리수면했는데 처음엔새벽에깨면 조금 울다자거나 울음이 길어지면 달래주러 가곤했는데 요샌 침대범퍼를 넘나들수있어서 울지않고 바로 안방으로 기어와요.. 데려가서 재우면 자는데 최근 일주일사이 이러네요ㅠ
전엔 일어나면 조금 울다 쪽쪽이찾아물고 인형안고 다시잤는데 요샌 그냥 안방으로직행이예요.
문을 닫으면 가둬놓는거같아서 문을 닫지도못하겠고 새벽에 깨면 다시 잠들줄 알아야하는데 방법이있을까요?
아님 분리수면을 포기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을 잘 시작 하셨습니다.
일단 시작하셨으니 밤에 깨어서 안방으로 오면 다시 재우는 방법으로 진행해 보시고 안될 경우에 포기 하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도 아이마다 다른데 부모님의 성향에 따라 분리수면의 방법을 바꿀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분리수면 중 안방으로 기어오는 이유는 사람의 인기척이 없고, 사람의 체취, 사람의 숨소리가 들리지 않기 때문에 불안함으로 인해서 무섭고 두렵기 때문에 안방으로 오는 것입니다.
지금 상태에서 아이에게 분리수면을 이행하고 단행한다면 아이는 스트레스를 받고 심리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선은 아이가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주시고, 분리수면을 만3세 이후에 시도를 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분리수면 중 방으로 방으로 되돌아 오는 것은
아이가 아직 준비가 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그럼으로 조금 더
아이와 함께 수면을 시도하시는 것을 권합니다. 아이들이 혼자 있을 때 느끼는 공포는
성장 후에도 심리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분리수면의시기가아닐수있으며
이런경우아이도 수면의질이떨어지고부모도떨어질수있기에
어느정도고려해보시는것도좋겠네요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아직은 엄마, 아빠를 찾는 시기이므로, 되도록 엄마 아빠와 함께 자는 게 아이가 불안감을 갖게 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아이를 억지로 혼자 재우게 되면, 두려움과 공포감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 및 환경의 영향인 경우도 있어요. 주로 아기에게 너무 헌신적이거나 반대로 방임주의인 경우에 보이는데 아기가 수면에 대해서 스스로 익힐 시간과 기회를 주지 않고 항상 케어하기 바쁜 경우와 알아서 좋아지겠지하고 마냥 기다립니다. 혹은 아기가 자는 환경이 적합지 않은 경우로서 한 침대에서 엄마아빠와 같이 잔다던가 중간에 아기가 잠에서 깨면 얼른 데리고 오는 경우도 포함됩니다. 아기가 조금만 깨서 울거나 하면 안절부절 못하고 아기가 혹여라도 분리불안 같은 트라우마가 남진 않을지 걱정을 하시는 분이 많은데요. 오히려 장기간 수면장애가 지속되면 그것이 더 아이에겐 신체 및 뇌, 정서의 발달에 좋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너무 어려서 분리수면을 해서
불안하여 그럴 수도 있고 조금 더 시기를
뒤로 미뤄보시는 것은 어떨까 싶어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방으로 온다면 다시 자기방으로 데리고가서 재우도록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아침에 일어나서 스스로 자기방에서 일어나는것이 익숙해지면 점차 좋아질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직은 분리수면을 하기에는
너무 어리다고 볼 수 있고 조금더 연습을 해보시거나 아니면
더 후에 시도해보시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분리수면은 무엇보다 아이들의 이해와 협조가 필요합니다
부모의 강요에 의해서 분리수면을 하게 되면 아이들은 큰 트라우마를 겪게 됩니다
아이가 자다가 엄마를 찾는 다는 것은 심리적으로 불안해서 그런 행동을 하는 것이므로, 정서적인 발달에 영향을 끼칩니다.
되도록 아이가 혼자서 자고 싶어하는 시기에 그 때 분리수면을 하는 게 좋겠습니다